코드 | 명칭 | 항목설명 | 기공개여부 | 구분 |
---|---|---|---|---|
_ | 자기공명영상진단(MR)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초음파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미용성형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QZ961 | 로봇 보조 수술[시술시 소요재료 포함]-다빈치 기기 da Vinciⓡ | 컴퓨터가 제공해 주는 3차원의 영상을 바탕으로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비급여임(고시제2018-50호) | ○ | 2020년 하반기 |
_ | 악안면교정수술 및 교정치료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RZ566 | 초음파 유도하 고강도초음파집속술(자궁근종, 자궁선근증) | 체외 고강도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병변부위의 응고괴사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술로 비급여임 | 2020년 하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MY142 | 증식치료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사시수술 | 시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수술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에 의거 비급여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증명서 발급비용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장애진단서, 진단서 추가 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SZ641 | 경피적 풍선확장 경막외강 신경성형 | 만성 요통·하지통증을 호소하는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수술 후 증후군 환자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시술로 비급여 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치과임플란트 | 65세이상 치과임플란트는 고시에서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그 외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 제4호바목에 의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20년 하반기 |
EZ987 |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Ultrasonography During Vacuum Assisted Breast Biopsy)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서 환자 평가 및 설명, 진정 유도 및 활력징후 감시, 진정 각성 및 회복 등의 과정을 시행한 경우에 산정가능하며, 고시에 해당하는 시술외의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SZ035 | 레이저를 이용한 손발톱 진균증 치료 | 손발톱진균증의 증상 개선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CZ246 | 허혈성 변형 알부민 검사 | 심근괴사 이전의 허혈성 심장질환을 진단하는 검사로 비급여 대상임 | 2020년 하반기 |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 | 2020년 하반기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EZ994 | 혈관내초음파 | 동맥경화증 및 전신혈관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혈관내로 도관을 삽입하여 혈관벽을 관찰하는 초음파검사로 비급여 대상임 | 2020년 하반기 |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EZ797 | 눈의 계측검사 (레이저간섭계 이용) | 백내장 수술환자의 안축장(axial eye length), 각막곡률반경(corneal radius) 및 전방깊이(anterior chamber depth)를 측정하여, 삽입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20년 하반기 |
MZ009 |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주의·기억] | 각종 뇌질환으로 인해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집중력과 단기 및 장기 기억력 장애가 초래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의력과 기억력을 훈련하는 재활치료로 비급여임 | ○ | 2020년 하반기 |
49010 | 약침술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약침술(藥鍼術)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건강검진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ZZ902 | 해외의뢰검사, 바이러스 혈청검사 HI Test 운송료 | 보건복지부 행정해석에 따라 국내 의료기관에서 외국으로 의뢰하는 경우 검사비용 및 이송 등의 비용에 대하여는 환자가 본인부담토록 함 | 2020년 하반기 | |
49020 | 한방물리요법(경피경근온열요법,경피적외선조사요법,경피경근한냉요법제외)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한방물리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골드크라운 |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 제4호바목에 의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BZ078 | 혈소판 응집능검사[교류저항혈소판응집]_TRAP | 혈소판 내 각각의 콜라겐, 리스토세틴 또는 TRAP에 의해 촉발되는 혈소판 기능을 혈소판 응집능으로 측정하여 혈소판 기능 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 검사임 | ○ | 2020년 하반기 |
_ | 영양주사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영양주사는 비급여대상임 | 2020년 하반기 | |
FY884 | 전류인지역치(통증역치검사)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상하지 말단부위에서 진동감각, 온도감각, 특정 주파수 전류 등 자극에 대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는 자극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감각기능의 이상을 진단,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 추적하며 증상이 없는 small fiber neuropathy 등 감각질환에 유용한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EZ773 | 동작분석 역동적근전도 | 보행을 비롯한 여러 동작 중 사용되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 및 운동을 평가함으로써 수술, 보조기 처방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운동치료 등 치료의 처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급여검사임 | ○ | 2020년 하반기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EZ981 |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 | 환자의 조직 강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초음파 프로브를 위치시킨 후, 횡파 탄성 초음파영상 버튼을 눌러 실시간으로 조직의 단단함을 확인하며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함 | 2020년 하반기 | |
EZ774 | 동작분석(생역학검사) | 동작분석검사는 동작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진단, 치료방향 설정 및 경과관찰 등을 위해 시행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CZ241 | 당알부민 |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표로 이용되며 혈당의 평균농도 반영평가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QZ962 | 경두개자기자극술 | 두부(頭部) 가까이에 전도전자기 코일을 놓고 강력한 전류파를 흘려서 생긴 자기장으로 두개골을 통과시켜 두뇌피질 신경세포의 활성화 및 억제를 유도하는 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FZ733 | 비디오전기안진검사 | 머리의 운동에 따른 눈동자모양의 유형을 측정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적외선비디오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는 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FZ689 | 언어전반진단검사 | 여러질환으로 인한 언어장애가 의심될 때 발음장애, 언어학습장애 여부 및 장애의 유형을 감별진단하고, 손상의 정도를 판별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FZ731 | 동적체평형검사 | 신체의 평형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하반기 |
FY891 | 자율신경계이상검사 | 자율신경계 기능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20년 하반기 | |
- | 자기공명영상진단(MR)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초음파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미용성형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QZ961 | 로봇 보조 수술[시술시 소요재료 포함]-다빈치 기기 da Vinciⓡ | 컴퓨터가 제공해 주는 3차원의 영상을 바탕으로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비급여임(고시제2018-50호) | ○ | 2020년 상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ㆍ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 및 교정치료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ㆍ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SZ631 | 내시경적 경막외강 신경근성형술 | 수술 또는 신경자극기 삽입의 필요성 여부 확진, 신경근병증, 추궁절제술후 증후군, 만성요통, 고령 또는 전신상태의 불안정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진성 좌골신경통 등 난치성 신경병증에 의한 요통, 좌골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하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SZ641 | 경피적 풍선확장 경막외강 신경성형 | 만성 요통·하지통증을 호소하는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수술 후 증후군 환자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증명서 발급비용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장애진단서, 진단서 추가 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사시수술 | 시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수술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에 의거 비급여임 | 2020년 상반기 | |
EZ987 |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Ultrasonography During Vacuum Assisted Breast Biopsy)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ㆍ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2020년 상반기 |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20년 상반기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치과임플란트 | 65세이상 치과임플란트는 고시에서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그 외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 제4호바목에 의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수면내시경 환자 관리료 |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서 환자 평가 및 설명, 진정 유도 및 활력징후 감시, 진정 각성 및 회복 등의 과정을 시행한 경우에 산정가능하며, 고시에 해당하는 시술외의 경우에는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992 | 내시경초음파 | 상부소화관이나 췌담도의 암진단 및 기타 병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49010 | 약침술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약침술(藥鍼術)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CZ999 | 기타 검사-Clostridium difficile 독소 유전자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클로스트리듐디피실 독소검사로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건강검진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797 | 눈의 계측검사 (레이저간섭계 이용) | 백내장 수술환자의 안축장(axial eye length), 각막곡률반경(corneal radius) 및 전방깊이(anterior chamber depth)를 측정하여, 삽입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20년 상반기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49020 | 한방물리요법(경피경근온열요법,경피적외선조사요법,경피경근한냉요법제외)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한방물리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CZ492 | HCV 항체검사 [간이검사] | C형 간염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754 | Bladder scan을 이용한 방광 잔뇨량 측정 검사(1일당) | 배뇨 후 방광 잔뇨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SZ035 | 레이저를 이용한 손발톱 진균증 치료 | 손발톱진균증의 증상 개선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BZ078 | 혈소판 응집능검사[교류저항혈소판응집]-TRAP | 혈소판 내 각각의 콜라겐, 리스토세틴 또는 TRAP(단백질 효소)에 의해 촉발되는 혈소판 기능을 혈소판 응집능(일정 크기 이상으로 모이는 것)으로 측정하여 혈소판 기능 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FY884 | 전류인지역치(통증역치검사)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상하지 말단부위에서 진동감각, 온도감각, 특정 주파수 전류 등 자극에 대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는 자극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감각기능의 이상을 진단,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 추적하며 증상이 없는 small fiber neuropathy 등 감각질환에 유용한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773 | 동작분석 역동적근전도 | 보행을 비롯한 여러 동작 중 사용되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 및 운동을 평가함으로써 수술, 보조기 처방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운동치료 등 치료의 처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급여검사임 | ○ | 2020년 상반기 |
EZ872 | 동맥압에 기초한 심박출량 연속감시법 | 기존에 거치된 동맥카테터에 센서와 모니터를 연결 후 심박출량을 감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MZ009 |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주의·기억] | 각종 뇌질환으로 인해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집중력과 단기 및 장기 기억력 장애가 초래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의력과 기억력을 훈련하는 재활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CZ241 | 당알부민 |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표로 이용되며 혈당의 평균농도 반영평가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 | 골드크라운 |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 제4호바목에 의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CZ396 | HIV항체[현장검사]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1형 및 2형 감염(예상)자 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환자에게서 HIV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EZ774 | 동작분석(생역학검사) | 동작분석검사는 동작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진단, 치료방향 설정 및 경과관찰 등을 위해 시행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FZ731 | 동적체평형검사 | 신체의 평형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QZ962 | 경두개자기자극술 | 두부(頭部) 가까이에 전도전자기 코일을 놓고 강력한 전류파를 흘려서 생긴 자기장으로 두개골을 통과시켜 두뇌피질 신경세포의 활성화 및 억제를 유도하는 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CZ133 | 호모시스테인검사 | 각종 혈관질환의 발생과 예후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검사로서 혈관질환의 치료 및 질환 진행의 예방에 이용 가능하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비급여검사임 | 2020년 상반기 | |
FY883 | 정량적감각기능검사(전류인지역치)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EZ777 | 동적 족저압측정 | 보행 시 발바닥의 모든 접지면의 체중부하를 측정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패턴을 분석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FZ714 | 초음파를 활용한 뇌혈류 기능검사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초음파를 활용한 뇌혈류 기능검사는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FZ733 | 비디오전기안진검사 | 머리의 운동에 따른 눈동자모양의 유형을 측정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적외선비디오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는 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48051 | 한방 향기요법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한방향기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BZ072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P2Y12) [현장검사]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2020년 상반기 | |
FZ689 | 언어전반진단검사 | 여러질환으로 인한 언어장애가 의심될 때 발음장애, 언어학습장애 여부 및 장애의 유형을 감별진단하고, 손상의 정도를 판별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20년 상반기 |
CZ371 | 약물동력학적 해석 및 보고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약물동력학적 해석 및 보고(Therapeutic Drug Monitoring Report)는 비급여대상임 | 2020년 상반기 | |
- | 자기공명영상진단(MR)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초음파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미용성형(비만,유방성형,외비성형,미용성형,흉터제거,사시수술,시력교정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ㆍ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QZ961 | 로봇 보조 수술[시술시 소요재료 포함]-다빈치 기기 da Vinciⓡ | 컴퓨터가 제공해 주는 3차원의 영상을 바탕으로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비급여임(고시제2018-50호) | 2019년 하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교정치료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SZ631 | 내시경적 경막외강 신경근성형술 | 수술 또는 신경자극기 삽입의 필요성 여부 확진, 신경근병증, 추궁절제술후 증후군, 만성요통, 고령 또는 전신상태의 불안정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진성 좌골신경통 등 난치성 신경병증에 의한 요통, 좌골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하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EZ985 | 수술 중 초음파 |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초음파는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비급여 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EZ987 |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Ultrasonography During Vacuum Assisted Breast Biopsy)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ㆍ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증명서 발급비용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장애진단서, 진단서 추가 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SZ641 | 경피적 풍선확장 경막외강 신경성형 | 만성 요통·하지통증을 호소하는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수술 후 증후군 환자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시술로 비급여 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19년 하반기 |
OZ111 | 비밸브재건술 | 내. 외비밸브 협착에 의한 코막힘 환자에 시행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고시제2016-61호) | 2019년 하반기 | |
EZ994 | 혈관내초음파 | 동맥경화증 및 전신혈관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혈관내로 도관을 삽입 하여 혈관벽을 관찰하는 초음파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EZ797 | 눈의 계측검사 (레이저간섭계 이용) | 백내장 수술환자의 안축장(axial eye length), 각막곡률반경(corneal radius) 및 전방깊이(anterior chamber depth)를 측정하여, 삽입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년 하반기 |
EZ848 | 경구 음식물유발시험과 경구 약물유발시험검사 | 약물 또는 음식물 알레르기의 확진 및 원인 알레르겐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EZ992 | 내시경초음파 | 상부소화관이나 췌담도의 암진단 및 기타 병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OZ304 | 레이저정맥폐쇄술〔유도료 포함〕 | 하지에 생긴 다양한 종류의 정맥류를 비관혈적으로 폐쇄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CZ246 | 허혈성 변형 알부민 검사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허혈성 변형 알부민검사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해외의뢰검사 | 보건복지부 행정해석에 따라 국내 의료기관에서 외국으로 의뢰하는 경우 검사비용 및 이송 등의 비용에 대하여는 환자가 본인부담토록 함 | 2019년 하반기 |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 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치과임플란트 | 65세이상 치과임플란트는 고시에서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그 외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 제4호바목에 의하여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EZ773 | 동작분석 역동적근전도 | 보행을 비롯한 여러 동작 중 사용되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 및 운동을 평가함으로써 수술, 보조기 처방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운동치료 등 치료의 처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년 하반기 |
BZ078 | 혈소판 응집능검사[교류저항혈소판응집]_TRAP | 혈소판 내 각각의 콜라겐, 리스토세틴 또는 TRAP에 의해 촉발되는 혈소판 기능을 혈소판 응집능으로 측정하여 혈소판 기능 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년 하반기 |
FY884 | 전류인지역치(통증역치검사)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상하지 말단부위에서 진동감각, 온도감각, 특정 주파수 전류 등 자극에 대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는 자극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감각기능의 이상을 진단,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 추적하며 증상이 없는 small fiber neuropathy 등 감각질환에 유용한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FZ714 | 초음파를 활용한 뇌혈류 기능검사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초음파를 활용한 뇌혈류 기능검사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 | 건강검진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은 비급여 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QZ962 | 경두개자기자극술 | 두부(頭部) 가까이에 전도전자기 코일을 놓고 강력한 전류파를 흘려서 생긴 자기장으로 두개골을 통과시켜 두뇌피질 신경세포의 활성화 및 억제를 유도하는 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MZ009 |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주의·기억] | 각종 뇌질환으로 인해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집중력과 단기 및 장기 기억력 장애가 초래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의력과 기억력을 훈련하는 재활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FZ731 | 동적체평형검사 | 신체의 평형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정맥혈전증 예방목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받은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한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관한 규칙 [별표2] 비급여대상 제3호아목에 의하여 비급여 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 | 수면내시경 환자 관리료 |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서 환자 평가 및 설명, 진정 유도 및 활력징후 감시, 진정 각성 및 회복 등의 과정을 시행한 경우에 산정가능하며, 고시에 해당하는 시술외의 경우에는비급여대상임 | ○ | 2019년 하반기 |
CZ241 | 당알부민 |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표로 이용되며 혈당의 평균농도 반영평가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FY883 | 정량적감각기능검사(전류인지역치)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FZ733 | 비디오전기안진검사 | 머리의 운동에 따른 눈동자모양의 유형을 측정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적외선비디오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는 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EZ774 | 동작분석(생역학검사) | 동작분석검사는 동작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진단, 치료방향 설정 및 경과관찰 등을 위해 시행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UW607 | 골드크라운 |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비급여대상 제4호바목에 의하여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FZ689 | 언어전반진단검사 | 여러질환으로 인한 언어장애가 의심될 때 발음장애, 언어학습장애 여부 및 장애의 유형을 감별진단하고, 손상의 정도를 판별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SZ035 | 레이저를 이용한 손발톱 진균증 치료 | 손발톱진균증의 증상 개선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EZ777 | 동적 족저압측정 | 보행 시 발바닥의 모든 접지면의 체중부하를 측정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패턴을 분석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9년 하반기 | |
- | 자기공명영상진단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 | 초음파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 | 미용성형(비만,유방성형,외비성형, 미용성형,흉터제거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987 |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진공보조 유방 생검시 유도 초음파( Ultrasonography During Vacuum Assisted Breast Biopsy)는 비급여대상임 | 2019 상반기 |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SZ641 | 경피적 풍선확장 경막외강 신경성형 | 만성 요통·하지통증을 호소하는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수술 후 증후군 환자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시술로 비급여 대상임 | 2019 상반기 | |
EZ985 | 수술 중 초음파 |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초음파(심혈관조영실, 혈관조영실 제외)는 비급여 대상임 | ○ | 2019 상반기 |
SZ631 | 내시경적 경막외강 신경근성형술 | 수술 또는 신경자극기 삽입의 필요성 여부 확진, 신경근병증, 추궁절제술후 증후군, 만성요통, 고령 또는 전신상태의 불안정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진성 좌골신경통 등 난치성 신경병증에 의한 요통, 좌골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하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2019 상반기 | |
- | 증명서 발급비용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장애진단서, 진단서 추가 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797 | 눈의 계측검사 (레이저간섭계 이용) | 백내장 수술환자의 안축장(axial eye length), 각막곡률반경(corneal radius) 및 전방깊이(anterior chamber depth)를 측정하여, 삽입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9 상반기 |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19 상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994 | 혈관내초음파 | 동맥경화증 및 전신혈관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혈관내로 도관을 삽입하여 혈관벽을 관찰하는 초음파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992 | 내시경초음파 | 상부소화관이나 췌담도의 암진단 및 기타 병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CZ999 | 기타 검사-Clostridium difficile 독소 유전자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Clostridium difficile 감염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 | 2019 상반기 |
CZ492 | HCV 항체검사 [간이검사] | C형 간염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MZ001 | FIMS (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754 | Bladder scan을 이용한 방광 잔뇨량 측정 검사(1일당) | 배뇨 후 방광 잔뇨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CZ396 | HIV항체[현장검사]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1형 및 2형 감염(예상)자 또는 후천성면역결핍증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환자에게서 HIV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EZ872 | 동맥압에 기초한 심박출량 연속감시법 | 기존에 거치된 동맥카테터에 센서와 모니터를 연결 후 심박출량을 감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CZ246 | 허혈성 변형 알부민 검사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허혈성 변형 알부민검사는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 대상임 | ○ | 2019 상반기 |
CZ133 | 호모시스테인검사 | 각종 혈관질환의 발생과 예후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검사로서 혈관질환의 치료 및 질환 진행의 예방에 이용 가능하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 상반기 |
BZ071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아스피린) [현장검사]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 상반기 |
- | 건강검진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은 비급여 대상임 |
○ | 2019 상반기 |
BZ072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P2Y12) [현장검사]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 상반기 |
CZ371 | 약물동력학적 해석 및 보고 | 환자특성과 약물 농도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투약계획과 약물반응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BZ078 | 혈소판 응집능검사 [교류저항혈소판응집]_TRAP |
혈소판 내 각각의 콜라겐, 리스토세틴 또는 TRAP에 의해 촉발되는 혈소판 기능을 혈소판응집능으로 측정하여 혈소판 기능 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 상반기 |
EZ773 | 동작분석 역동적근전도 | 보행을 비롯한 여러 동작 중 사용되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 및 운동을 평가함으로써 수술, 보조기 처방과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운동치료 등 치료의 처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급여검사임 | ○ | 2019 상반기 |
- | 진정내시경 환자 관리료 |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소화기·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서 환자 평가 및 설명, 진정 유도 및 활력징후 감시, 진정 각성 및 회복 등의 과정을 시행한 경우에 산정가능하며, 고시에 해당하는 시술외의 경우에는비급여대상임 | 2019 상반기 | |
MZ009 |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주의·기억] | 각종 뇌질환으로 인해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집중력과 단기 및 장기 기억력 장애가 초래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의력과 기억력을 훈련하는 재활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9 상반기 | |
FY884 | 전류인지역치(통증역치검사)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상하지 말단부위에서 진동감각, 온도감각, 특정 주파수 전류 등 자극에 대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는 자극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감각기능의 이상을 진단,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 추적하며 증상이 없는 small fiber neuropathy 등 감각질환에 유용한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9 상반기 |
NZ009 | 기타 행동치료-신경발달중재치료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기타 행동치료-신경발달중재치료는 비급여대상임 | 2019 상반기 | |
FZ714 | 초음파를 활용한 뇌혈류 기능검사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3부 행위 비급여 목록」에 의거 초음파를 활용한 뇌혈류 기능검사는 비급여대상임 | 2019 상반기 | |
- | 기본자기공명영상진단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초음파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 | 2018 하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 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EZ985 | 수술 중 초음파 |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초음파(심혈관조영실, 혈관조영실 제외)는 비급여 대상임 |
○ | 2018 하반기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피부미용(흉터제거술 등 기타)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18 하반기 |
EZ992 | 내시경초음파 | 상부소화관이나 췌담도의 암진단 및 기타 병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CZ999 |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Clostridium difficile 감염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EZ994 | 혈관내초음파 | 동맥경화증 및 전신혈관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혈관내로 도관을 삽입하여 혈관벽을 관찰하는 초음파검사로 비급여 대상임 |
○ | 2018 하반기 |
CZ492 | HCV 항체검사 [간이검사] | C형 간염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악안면교정치료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EZ754 | Bladder scan을 이용한 방광 잔뇨량 측정 검사 |
배뇨 후 방광 잔뇨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EZ872 | 동맥압에 기초한 심박출량 연속감시법 |
기존에 거치된 동맥카테터에 센서와 모니터를 연결 후 심박출량을 감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CZ133 | 호모시스테인검사 | 각종 혈관질환의 발생과 예후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검사로서 혈관질환의 치료 및 질환 진행의 예방에 이용 가능하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8 하반기 |
- | 피부미용(레이저시술)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2018 하반기 | |
- | 진정내시경 환자 관리료 |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 급여 인정기준에 해당하는 검사, 처치, 수술 이외에 실시한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대상 | ○ | 2018 하반기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CZ396 | HIV항체[현장검사]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1형 및 2형 감염(예상)자 또는 후천성면역결핍증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환자에게서 HIV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비급여임 |
○ | 2018 하반기 |
EZ773 | 동작분석 역동적근전도 | 보행을 비롯한 여러 동작 중 사용되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 및 운동을 평가함으로써 수술, 보조기 처방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운동치료 등 치료의 처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급여검사임 |
○ | 2018 하반기 |
BZ072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P2Y12)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 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8 하반기 |
FY884 | 전류인지역치(통증역치검사)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상하지 말단부위에서 진동감각, 온도감각, 특정 주파수 전류 등 자극에 대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는 자극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감각기능의 이상을 진단,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 추적하며 증상이 없는 small fiber neuropathy 등 감각질환에 유용한 검사임 |
○ | 2018 하반기 |
BZ071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아스피린)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 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8 하반기 |
CZ371 | 약물동력학적 해석 및 보고 | 환자특성과 약물 농도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투약계획과 약물반응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하반기 |
- |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은 비급여 대상임 | ○ | 2018 하반기 |
BZ078 | 혈소판 응집능검사 [교류저항혈소판응집]_TRAP |
혈소판 내 각각의 콜라겐, 리스토세틴 또는 TRAP에 의해 촉발되는 혈소판 기능을 혈소판 응집능으로 측정하여 혈소판 기능 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 검사임 |
○ | 2018 하반기 |
CZ398 | 폐렴 연쇄상구균 소변항원 [간이검사] | 폐렴사슬알균 감염으로 인한 폐렴의 진단 또는 폐렴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 | 2018 하반기 |
-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하는 것으로 비급여 대상임('16.12.1일자로 삭제) |
○ | 2018 하반기 |
CZ246 | 허혈성 변형 알부민 검사 | 심근괴사 이전의 허혈성 심장질환을 진단하는 검사로 비급여 대상임 | 2018 하반기 | |
FZ733 | 비디오전기안진검사 | 머리의 운동에 따른 눈동자모양의 유형을 측정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적외선 비디오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는 방법으로 비급여 대상임 |
2018 하반기 | |
- | 기본자기공명영상진단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초음파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 | ○ | 2018 상반기 |
- |
미용성형(비만, 유방성형, 외비성형, 미용성형 흉터제거, 사시수술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ㆍ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 | 2018 상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 | ○ | 2018 상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증명서 발급비용(진단서 및 각종 사본발급비용 등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장애진단서, 진단서 추가 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SZ641 | 경피적 풍선확장 경막외강 신경성형 | 만성 요통·하지통증을 호소하는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수술 후 증후군 환자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시술로 비급여 대상임 | 2018 상반기 | |
EZ985 | 수술 중 초음파 |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초음파(심혈관조영실, 혈관조영실 제외)는 비급여 대상임 | ○ | 2018 상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SZ631 | 내시경적 경막외강 신경근성형술 | 수술 또는 신경자극기 삽입의 필요성 여부 확진, 신경근병증, 추궁절제술후 증후군, 만성요통, 고령 또는 전신상태의 불안정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진성 좌골신경통 등 난치성 신경병증에 의한 요통, 좌골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하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2018 상반기 |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18 상반기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OZ304 | 레이저정맥폐쇄술〔유도료 포함〕 | 하지에 생긴 정맥류를 비관혈적으로 폐쇄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CZ999 | 기타 검사-Clostridium difficile 독소 유전자[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Clostridium difficile 감염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진정내시경 환자 관리료 |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 급여 인정기준에 해당하는 검사, 처치, 수술 이외에 실시한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EZ994 | 혈관내초음파 | 동맥경화증 및 전신혈관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혈관내로 도관을 삽입하여 혈관벽을 관찰하는 초음파검사로 비급여 대상임 | ○ | 2018 상반기 |
CZ492 | HCV 항체검사 [간이검사] | C형 간염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EZ992 | 내시경초음파 | 상부소화관이나 췌담도의 암진단 및 기타 병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EZ872 | 동맥압에 기초한 심박출량 연속감시법 | 기존에 거치된 동맥카테터에 센서와 모니터를 연결 후 심박출량을 감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EZ754 | Bladder scan을 이용한 방광 잔뇨량 측정 검사(1일당) | 배뇨 후 방광 잔뇨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8 상반기 | |
RZ566 | 초음파 유도하 고강도초음파집속술 | 상체외 고강도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병변부위의 응고괴사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술로 비급여임 | 2018 상반기 | |
-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16.12.1일자로 삭제) | ○ | 2018 상반기 |
- |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 | 예방진료로서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은 비급여 대상임 | 2018 상반기 | |
- | 악안면교정치료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CZ371 | 약물동력학적 해석 및 보고 | 환자특성과 약물 농도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투약계획과 약물반응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CZ396 | HIV항체[현장검사]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1형 및 2형 감염(예상)자 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환자에게서 HIV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비급여임 | 2018 상반기 |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8 상반기 |
CZ133 | 호모시스테인검사 | 각종 혈관질환의 발생과 예후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검사로서 혈관질환의 치료 및 질환 진행의 예방에 이용 가능하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BZ072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P2Y12) [현장검사]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EZ773 | 동작분석 역동적근전도 | 보행을 비롯한 여러 동작 중 사용되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 및 운동을 평가함으로써 수술, 보조기 처방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운동치료 등 치료의 처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FZ703 | 수면 무호흡 증후군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 | 수면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장애에 대한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수면-무호흡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후 그 효과판정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EZ797 | 눈의 계측검사 (레이저간섭계 이용) | 백내장 수술환자의 안축장(axial eye length), 각막곡률반경(corneal radius) 및 전방깊이(anterior chamber depth)를 측정하여, 삽입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NZ006 | 행동치료 | 학습이론에 따라 비정상적인 행동 증상을 해소하고 건설적인 행동으로 다시 학습하게 하여 정신과 질환을 치료하는 기법으로, 거의 모든 정신과 질환에 적용되는 비급여행위임 | 2018 상반기 | |
FY884 | 전류인지역치(통증역치검사) | 말초신경염에 의한 신경감각손상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상하지 말단부위에서 진동감각, 온도감각, 특정 주파수 전류 등 자극에 대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는 자극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감각기능의 이상을 진단,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 추적하며 증상이 없는 소섬유신경병증(small fiber neuropathy)등 감각질환에 유용한 검사임 | 2018 상반기 | |
BZ071 |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 (아스피린) [현장검사] |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P2Y12)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제 반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 임상경과 예측 및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FZ688 | 발음 및 발성검사 | 음성장애를 일으키는 모든 질환(성대결절, 폴립, 성대마비, 후두악성종양 등)에서 음성장애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하고, 수술 후 추적관찰, 수술 및 음성치료의 효과분석을 위해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MZ009 |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주의·기억] | 각종 뇌질환으로 인해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집중력과 단기 및 장기 기억력 장애가 초래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의력과 기억력을 훈련하는 재활치료로 비급여임 | 2018 상반기 | |
OY202 | 고주파정맥내막폐쇄술[유도료 포함](교통정맥결찰술을동반하지않은경우) | 고주파에 의한 열에너지로 정맥내막을 변성시켜서 정맥류를 치료하는 시술로 하지정맥류 환자의 대복재정맥내에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초음파나 X-ray 투시하에 원하는 부위까지 도달시킨 후, 고주파에 의해 혈관벽의 콜라겐이 수축되면서 혈관을 폐쇄하게하는 행위로 비급여임 | 2018 상반기 | |
CZ398 | 폐렴 연쇄상구균 소변항원 [간이검사] | 폐렴사슬알균 감염으로 인한 폐렴의 진단 또는 폐렴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검사임 | 2018 상반기 | |
BZ078 | 혈소판 응집능검사[교류저항혈소판응집]_TRAP | 혈소판 내 각각의 콜라겐, 리스토세틴 또는 TRAP에 의해 촉발되는 혈소판 기능을 혈소판 응집능으로 측정하여 혈소판 기능 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비급여 검사임 | 2018 상반기 | |
- | 자기공명영상진단(MR)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초음파검사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미용성형(비만, 유방성형, 외비성형, 미용성형 흉터제거, 사시수술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행위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ㆍ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증명서 발급비용(일반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진료비 추정서, 각종 사본발급비용 등)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장애진단서, 진단서 추가 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16.12.1일자로 삭제) | ○ | 2017 하반기 |
49010 | 약침술 | 약제에서 정제ㆍ추출한 약물을 경혈에 주입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진정내시경 환자 관리료(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 |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 급여 인정기준에 해당하는 검사, 처치, 수술 이외에 실시한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비급여대상임(2017.2.1 부터) | ○ | 2017 하반기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ㆍ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 | 2017 하반기 |
EZ985 | 수술 중 초음파 |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초음파(심혈관조영실, 혈관조영실 제외)는 비급여 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 | 2017 하반기 |
OZ304 | 레이저정맥폐쇄술〔유도료 포함〕 | 하지에 생긴 정맥류를 비관혈적으로 폐쇄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치과임플란트 | 65세 미만 환자에게 실시하는 치과 임플란트는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49020 | 한방물리요법(경피경근온열요법,경피적외선조사요법,경피경근한냉요법제외) | 경피경근온열요법, 경피적외선조사요법, 경피경근한냉요법을 제외한 한방물리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CZ999 | 기타 검사-Clostridium difficile 독소 유전자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Clostridium difficile 감염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EZ872 | 동맥압에 기초한 심박출량 연속감시법 | 기존에 거치된 동맥카테터에 센서와 모니터를 연결 후 심박출량을 감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EZ994 | 혈관내초음파 | 동맥경화증 및 전신혈관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혈관내로 도관을 삽입하여 혈관벽을 관찰하는 초음파검사로 비급여 대상임 | 2017 하반기 |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동맥계의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 | 악안면교정수술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통증을 장기화시키는 척추주위 근육을 자극하고 자율신경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CZ492 | HCV 항체검사 [간이검사] | C형 간염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EZ992 | 내시경초음파 | 상부소화관이나 췌담도의 암진단 및 기타 병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CZ394 |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 | 2017 하반기 |
CZ371 | 약물동력학적 해석 및 보고 | 환자특성과 약물 농도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투약계획과 약물반응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CZ432 | 항CCP항체[IgG]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CZ133 | 호모시스테인검사 | 각종 혈관질환의 발생과 예후에 관여하는 위험인자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EZ754 | Bladder scan을 이용한 방광 잔뇨량 측정 검사(1일당) | 배뇨 후 방광 잔뇨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하반기 | |
- |
선택진료료 |
선택진료를 받는 경우에 선택진료에 관한 규칙에 따라 추가되는 비용으로 비급여대상 | 2017 상반기 | |
- | 자기공명영상진단(MR) | 자기공명영상진단(MR)은 고시에서 '적응증(암, 뇌양성종양 및 뇌혈관질환, 뇌전증, 뇌염증성 질환 및 치매 등) 및 인정횟수 등'의 급여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초음파검사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와 산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초음파검사의 급여기준(고시 제2017-68호) |
2017 상반기 |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미용성형(비만, 유방성형, 외비성형, 미용성형 흉터제거, 사시수술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보호자식, 특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2017 상반기 |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 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주입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악안면교정수술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 교정술 및 교정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하여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로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16.12.1일자로 삭제) ※ 삭제사유: 정맥혈전증 예방용 치료재료가 비급여에서 급여로 전환 |
2017 상반기 |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수면내시경 환자 관리료(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 |
해당 내시경검사 및 약제 비용 이외에 진정요법으로 발생되는 추가적인 환자관리 행위는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증명서 발급비용(일반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진료비 추정서, 각종 사본발급비용 등)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 확인서, 진료비추정서, 장해진단서, 추가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에 등재되지 아니하여 요양 급여대상 여부의 '결정신청된 신의료기술'은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고시될 때까지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49010 | 약침술 | 약제에서 정제추출한 약물을 경혈에 주입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C이상 가온하여 암세포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2017 상반기 |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척추)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군,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49020 | 한방물리요법(경피경근온열요법,경피적외선조사요법,경피경근한냉요법제외) | 경피경근온열요법, 경피적외선조사요법, 경피경근한냉요법을 제외한 한방물리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CZ115 | 프로칼시토닌 정량검사 | 패혈증 등을 진단하여 조기에 적절한 항균제 사용과 항균제 치료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검사로 비급여대상임('15.8.1일자부터 급여전환) | 2017 상반기 | |
MZ012 |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 기존 통증 치료로 관리되지 않는 만성통증, 암성통증 및 난치성 통증 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한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EZ868 | 동맥경화도검사(맥파전달속도측정) |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EZ872 | 동맥압에 기초한 심박출량 연속감시법 | 기존에 거치된 동맥카테터에 센서와 모니터를 연결 후 심박출량을 감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CZ999 | 기타 검사-Clostridium difficile 독소 유전자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Clostridium difficile 감염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단순한 피로 또는 권태, 영양주사 | 단순한 피로 또는 권태 등은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CZ394 | 인플루엔자 AㆍB 바이러스항원검사 [현장검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CZ492 | HCV 항체검사 [간이검사] | C형감염검사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MZ006 | 언어치료 |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한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NZ006 | 행동치료 | 비정상적인 행동을 학습이론에 따라 증상을 해소하고 건설적인 행동으로 다시 학습하게 하는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7 상반기 | |
- |
선택진료료 |
선택진료를 받는 경우에 선택진료에 관한 규칙에 따라 추가되는 비용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 |
상급병실료(1인실~5인실)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HZ161 | 초음파영상 |
초음파검사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급여대상 및 범위기준」이 정해져 있어,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 |
미용성형(안검유방외비성형, 비만진료, 미용성형 흉터제거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주된 치료방법에 보조적 또는 보완적으로 실시됨 | 2016 하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을 가하여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VG010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한 것으로 비급여대상임('16.12.1일자로 삭제) ※ 삭제사유: 정맥혈전증 예방용 치료재료가 비급여에서 급여로 전환 |
2016 하반기 | |
ZZ500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신의료기술"은 요양급여기준 제9조 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VB030 |
수면내시경 환자 관리료(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 |
해당 내시경검사 및 약제 비용 이외에 진정요법으로 발생되는 추가적인 환자관리 행위는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생리적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ABZ88 |
간병비 |
환자의 간병상 환자나 보호자가 간병인을 원하는 경우에 사적계약관계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보험급여대상이 아님. |
2016 하반기 | |
- |
증명서발급비용(진단서, 입퇴원확인서 등)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확인서, 진료비추정서, 장해진단서, 추가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49020 |
한방물리요법 |
경피경근온열요법, 경피적외선조사요법, 경피경근한냉요법을 제외한 한방물리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49010 |
약침술 |
약제에서 정제, 추출한 약물을 경혈에 주입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골절 지연 유합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혈관 재형성을 돕고 건 및 그 주위조직과 뼈의 치유과정을 자극하거나 재활성화시켜 통증 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BZ073 |
혈소판복합기능검사 (Epinephrine) |
혈소판의 응집정도를 기록해 정상치와 비교하여 혈소판기능부전이 의심되는 경우나 항혈소판제제 사용 후 약물효과 추적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16.8.1일자부터 급여전환) | 2016 하반기 | |
- |
식대(보호자식, 특식 등)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2016 하반기 | |
ZZ802 |
장기이식 제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골수 등 장기의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사지관절)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또는 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이상 가온을 하여 암세포의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 또는 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2016 하반기 |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MZ007 | 신장분사치료 |
근막동통증후근, 염좌, 타박상 등에 근막통증유발점, 운동점, 압통점 등을 비활성화시켜 통증 완화, 경직 감소시켜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로 비급여대상임 |
2016 하반기 | |
- |
상급병실료(1인실~5인실)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이용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HZ161 | 초음파영상 | 초음파검사는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에 의한 산정특례 대상 중 급여대상으로 정한 정한 경우에만 요양급여하며, 그 이외에는 비급여대상임. 다만, 요양급여대상에 해당되나, 산정횟수를 초과하여 시행시에는 환자가 전액본인부담토록함 | 2016 상반기 | |
- |
악안면교정 수술치료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교정 수술치료는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목적이 아닌 경우로 보아 비급여대상임 ※ 악안면교정수술은 인정기준(고시제2007-37호, 2007.4.27.)에 의거 저작 또는 발음 기능개선 목적으로 시행한 경우 보험급여대상으로 하되, 보험급여 적응증은 별도 명시 |
2016 상반기 | |
- | 미용성형(안검유방외비성형, 비만진료, 미용성형 흉터제거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술행위로 비급여대상임. 주된 치료방법에 보조적 또는 보완적으로 실시됨 | 2016 상반기 |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부경부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탈출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QZ961 |
다빈치 로봇 수술[시술시 소요재료 포함] |
3차원의 영상을 바탕으로 로봇팔을 원격조정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 |
신의료결정신청 비급여 |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결정신청된 신의료기술"은 요양급여기준 제9조 제1항에 의한 [별표2]에 따라 비급여대상임 ※ 신의료기술: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으로 결정되지 아니한 새로운 행위치료재료 |
2016 상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균열된 요추 추간판 섬유륜을 고온의 열(고주파열)을 가하여 만성요통을 치료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 |
수면내시경 환자 관리료(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 |
해당 내시경검사 및 약제 비용 이외에 진정요법으로 발생되는 추가적인 환자관리 행위는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생리적 검사방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 |
정맥혈전 예방처치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한 것으로 비급여 대상 |
2016 상반기 | |
- |
증명서발급비용(진단서, 입퇴원확인서 등) |
진단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비용(일반 진단서, 입원 및 치료확인서, 진료비추정서, 장해진단서, 추가발급비용 등)은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외상과염, 족저 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 석회화 건염, 골절 지연 유합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혈관 재형성을 돕고 건 및 그 주위조직과 뼈의 치유과정을 자극하거나 재활성화시켜 통증 감소와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완화를 유도하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CZ115 |
프로칼시토닌 정량검사 |
패혈증 등을 진단하여 조기에 적절한 항균제 사용과 항균제 치료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검사로 비급여대상임('15.8.1일자부터 급여전환) |
2016 상반기 |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이상 가온을 하여 암세포의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 또는 항암제 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비급여대상치료임 |
2016 상반기 | |
BZ073 |
혈소판복합기능검사 (Epinephrine) |
혈소판의 응집 정도를 기록해 정상치와 비교하여 혈소판기능부전이 의심되는 경우나 항혈소판제제 사용 후 약물효과 추적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비급여대상임( '16.8.1일자부터 급여전환) |
2016 상반기 | |
49020 |
한방물리요법 |
경피경근온열요법, 경피적외선조사요법, 경피경근한냉요법을 제외한 한방물리요법은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YZ000 |
식대(보호자식, 특식 등)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함 |
2016 상반기 | |
MZ006 |
언어치료 |
뇌졸증, 외상성 뇌손상, 뇌성마비 등의 뇌신경계질환과 구음장애 등의 언어(language) 또는 말(speech)의 이상 진단시 교정을 위해 행하여지는 전문작업이며,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자신을 표현할 수 있고 사회적, 직업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49010 |
약침술 |
약제에서 정제, 추출한 약물을 경혈에 주입하는 시술로 비급여대상임 |
2016 상반기 | |
HZ161 |
초음파영상 |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에 의한 산정특례 대상 중 급여대상으로 정한 경우에만 요양급여하며, 그 이외에는 비급여 대상(다만, 요양급여 대상이나, 산정횟수를 초과시는 환자가 전액본인부담) | 2015 하반기 | |
- | 상급병실료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 사용비용은 비급여대상 | 2015 하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 등)의 만성통증치료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추, 경추부위 디스크 팽윤, 급성 디스크탈출 등에 경막외강의 약물을 투여하여 염증을 가라앉혀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MX122 |
도수치료 [1일당]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 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시술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행위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QZ961 |
다빈치 로봇 수술[시술시 소요재료 포함] |
3차원 입체영상을 보면서 로봇팔을 원격조정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악안면교정술(외모개선목적) |
저작 또는 발음기능개선의 목적이 아닌 외모개선 목적의 악안면교정수술은 비급여대상(보험급여대상으로 하되 보험급여 적응증은 별도로 명시) | 2015 하반기 | |
EZ776 |
체온열검사 |
근골격계 또는 척추질환 등의 통증으로 인한 병태 생리현상의 진단을 위해 인체에서 생성되는 열의 분포에 따른 체온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CZ115 |
프로칼시토닌 정량검사 |
초기 패혈증의 진단이 가능하며 환자에게 사용되는 항균제 효과를 알수 있어 세균감염 모니터링과 항생제 효과 측정 검사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SZ084 |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질환] |
상완골 내상과염 및 외상과염, 족저근막염, 어깨관절(견관절)석회화건염, 골절지연유합 등에 체외에서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통증감소 및 기능개선을 위한 치료법으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HZ272 |
방사선 온열치료 및 온열치료계획 |
암조직에 섭씨 43℃이상 가온을 하여 암세포의 치사를 일으켜 방사선 또는 항암제효과를 증강 또는 국소적 면역능력 보강으로 암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치료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MY143 |
증식치료(척추부위) |
만성적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부위의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증식물질을 주사하여 건,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소실 완화 유도치료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MY142 |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
2015 하반기 | ||
MZ008 |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 |
연하장애환자에서 연하관련 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훈련함으로써 연하장애를 개선시키고자 하는 치료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미용목적의 성형수술(유방, 외비성형, 안검성형 등)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BZ073 |
혈소판복합기능검사 (Epinephrine) |
혈소판의 응집 정도를 기록해 정상치와 비교하여 혈소판기능부전이 의심되는 경우나 항혈소판제제 사용 후 약물효과 추적을 위해 실시하는 검사 | 2015 하반기 | |
QZ371 |
고주파 설근부 축소술 |
경중등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단순 코골음 환자에서 설근부 비대로 인한 기류 흐름 장애시 고주파 전극 삽입 및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설근부의 용적을 줄여 주여 코골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증명서발급비용(진단서, 입퇴원확인서 등) |
일반진단서, 사망진단서, 출생증명서, 장해진단서, 상해진단서, 병사용진단서 등 발급비용은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식대(추가 및 보호자식) |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는 환자식 이외(추가식, 보호자식 등)를 선택하는 경우 그 비용을 본인이 전액부담 | 2015 하반기 | |
- |
척추, 무릎 MRI(퇴행성질환) |
목, 허리디스크 등 퇴행성 척추질환에 촬영한 척추 MRI 및 퇴행성관절염에 질환에 촬영한 무릎 MRI는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70세미만 치과보철(틀니, 부분틀니 등) |
치아를 상실했을 경우 인공적으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보형물을 보철이라 하며, 70세미만의 치과보철 치료는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정맥혈전증 예방진료료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한 것으로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 |
수면내시경관리료(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 |
수면내시경검사 전후 실시되는 환자관리행위는 비급여 대상 |
2015 하반기 | |
SZ083 |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
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 등)의 만성통증치료 |
2014 | |
SZ634 |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
요추, 경추부위 디스크 팽륜, 급성 디스크탈출증 등에 적절한 바늘로 경막외강에 약물을 투여하여 염증을 가라앉혀 통증을 감소시키는 시술 |
2014 | |
MX122 |
도수치료 |
근골격계질환, 급만성 경요추부통증 등에 손을 이용하여 시술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행위로, 주된 치료방법에 보조적 또는 보완적으로 실시 |
2014 | |
MZ001 |
FIMS(Functional Intramuscular Stimulation) |
척추주변에 있는 인대와 근육을 자극하여 통증을 해소하고 기능회복에 도움을 주는 침도요법 |
2014 | |
CZ115 |
프로칼시토닌 정량검사 |
초기 패혈증의 진단이 가능하며 환자에게 사용되는 항균제 효과를 알 수 있어 세균감염의 모니터링과 항생제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 |
2014 | |
QZ961 |
다빈치 로봇 수술 |
3차원 입체영상을 보면서 로봇팔을 원격조정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서 흉강경 또는 복강경 수술과 접근방법이 매우 유사함 |
2014 | |
- |
척추, 무릎 MRI |
목허리디스크 등 퇴행성척추질환에 촬영한 척추MRI 및 퇴행성관절염질환에 촬영한 무릎MRI는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상급병실료(특실, 1인실~3인실. 2014.9.1이전은 1인실~5인실) |
기본입원료 이외에 추가로 부담하는 '상급병실'이용 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한방첩약(탕약), 생약, 약침 |
한방첩약 및 기성한의서의 처방 등을 근거로 한 한방생약제제 및 약침은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75세미만 치과보철(틀니, 부분틀니 등) |
치아를 상실했을 경우 인공적으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보형물을 보철이라 하며, 75세미만의 치과보철 치료는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인공수정(체내, 체외)등 보조생식술 비용 |
불임치료 비용은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장기이식 운반비용 |
장기이식을 위해 공여자의 장기운반시 소요되는 비용은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친자확인 |
친자확인을 위한 진단비용은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미용목적의 성형수술(시술) |
신체의 필수 기능개선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지방분해주사 |
지방분해주사(카복시 등)는 지방세포 분해를 촉진하며,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정맥혈전증 예방진료료 |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치료를 실시한 것으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수면관리료(수면내시경 위내시경대장내시경 등) |
수면내시경 전후 실시되는 환자관리행위는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건강검진 |
본인의 희망에 의한 검진은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예방접종 |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실시 또는 사용되는 행위 등은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한 비급여대상임 |
2014 | |
- |
증명서 발급비용(진단서, 입퇴원확인서 등) |
일반진단서사망진단서출생증명서장애진단서상해진단서병사용진단서 등 발급비용은 비급여대상임 |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