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상세화면
얼굴 떨림과 경련이 지속되면... '안면신경장애' 주의
담당부서 홍보부 작성일 2014.01.27 조회수

얼굴 떨림과 경련이 지속되면... '안면신경장애' 주의
- '안면신경장애' 환자 연평균 5.6% 증가, 40∼50대가 44.2% 차지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안면신경장애(G51, Facial nerve disorders)’에 대해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8년 약 5만7천명에서 2012년 약 7만명으로 5년새 약 1만4천명이 증가하였고(24.2%), 연평균 증가율은 5.6%로 나타났으며,
• 총진료비는 2008년 약 156억원에서 2012년 약 215억원으로 5년새 약 59억원이 증가하였고(38.3%),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나타났다.


□ 2012년 기준 진료인원을 세부상병으로 구분하면, 안면신경장애의 56.8%는 편측성 안면마비인 ‘벨마비’가 가장 많으며, 진료인원은 약 4만 3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 안면신경장애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약 42.6%, 여성은 약 57.4%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에 비해 약 1.3배 더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5.5%, 여성이 5.6%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안면신경장애 진료인원의 10세구간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50대 25.0%, 40대 19.2%, 60대 17.6%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 점유율이 44.2%로, 안면신경장애 진료인원의 10명 중 4명은 40~50대의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각 연령구간별 성별 점유율을 비교해본 결과 안면신경장애 진료인원은 30대 까지는 진료인원의 성별 차이가 미미하나, 40대부터 벌어지기 시작하여 5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60% 이상의 점유율을 보여,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여성의 비중이 남성에 비해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안면신경장애는 감염, 부상, 종양 등으로 인해 얼굴 신경이 압박받거나 손상되어, 얼굴에 땡기는 느낌이나 떨림,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 안면신경은 7번째 뇌신경으로 대부분은 눈, 입 등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운동신경의 역할을 수행하고, 일부는 미각, 분비기능 등을 조절한다.
- 때문에 안면신경마비 질환을 앓는 환자들은 눈이 감기지 않거나, 눈물이 나지 않아 건조함을 느끼는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 안면신경장애는 대표적으로 벨마비, 간대성 반쪽얼굴연축으로 분류되며, 그 외에 안면근육파동증, 멜커슨 증후군 등도 포함된다.

 

➀ 벨마비
: 바이러스 등에 의해 얼굴신경이 손상되어 안면마비 증세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통 편측성으로 나타난다. 스테로이드와 항바이러스제 처방으로 치료하며, 필요시 수술을 통해 신경을 압박하는 뼈를 제거하기도 한다.

➁ 간대성 반쪽얼굴연축
: 얼굴 한쪽에서 불수의적인 수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눈꺼풀의 경미한 단일수축이 나타나다가 병이 진행하면 얼굴 아래쪽까지 연축이 확장된다. 연축은 얼굴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경우에 나타나고, 두개내혈관이상, 종양, 다발경화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얼굴신경마비의 후유증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클로나제팜 같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과 카르바마제핀 같은 항뇌전증약이 치료로 사용되며, 연축이 일어나는 근육에 국소적으로 보툴리눔독소를 주입하는 치료도 효과가 있다. 얼굴신경과 뇌혈관을 분리해주는 신경혈관감압술이 효과가 좋을 수도 있다.

➂ 안면근육파동증
: 자기도 모르게 안면 근육이 떨리는 것으로 주로 눈꺼풀 경련이 많이 일어난다. 피로, 스트레스 등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➃ 멜커슨 증후군
: 눈 주위와 입술이 심하게 부으며 반복적으로 안면신경마비가 일어나는 증상으로, 원인과 치료법이 밝혀져 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 안면신경장애가 오랜 기간 계속되면 환자의 정신적 고통과 함께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한다면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작성 기준≫

○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기준(비급여 제외)
○ 한방 및 약국 실적 제외
○ 주상병 : 안면신경장애(G51, Facial nerve disorders)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세부내역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익스플로러 상단 메뉴중 도구선택 -> 인터넷 옵션 선택 -> 고급 탭 메뉴 선택 후 탐색 하위에 있는
    'URL을 항상 UTF-8로 보냄(다시 시작해야 함)' 체크 박스의 체크를 해제 하시면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목록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