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한 여름철, ‘연조직염’ 주의보! - 최근 5년간 8월 진료인원이 가장 많아... 세균번식, 모기물림 등이 원인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연조직염(L03)’에 대해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9년 약 99만 8천명에서 2013년 약 115만 2천명으로 5년간 약 15만 4천명(15.5%)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3.7%로 나타났다.
• 총진료비는 2009년 약 621억원에서 2013년 약 810억원으로 5년간 약 188억원(30.3%)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6.8%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연조직염’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48.5%~48.9%, 여성은 51.1%~51.5%로 여성이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조직염’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50대 구간이 16.2%로 가장 높았고, 40대 14.8%, 30대 12.6%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구간인 20대의 점유율도 10.4%로 크게 차이가 없어 ‘연조직염’의 진료인원은 전 연령층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조직염은 작은 상처에 세균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특정 연령층 구분 없이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연조직염’ 진료인원은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7~9월)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8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월별 평균 진료인원은 약 10만 9천명이며, 여름에 평균 이상의 인원이 진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여름철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습도가 높아 ‘연조직염’의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알균 등 세균번식이 쉽고, 모기에 물린 부위가 연조직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측된다.
□ ‘연조직염’을 부위별로 보면 2013년 기준으로 손가락 및 발가락 부위에 발생한 진료인원이 약 31만 6천명(26.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손과 발은 감염균과의 접촉이 많은 곳으로 특히 발은 무좀 및 발가락 짓무름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측된다.
□ ‘연조직염’은 피부표면의 작은 상처를 통한 세균 침투로 진피와 피하조직에 일어나는 세균 감염증이며, ‘봉소염’, ‘봉과직염’, ‘봉와직염’이라고도 불린다.
- ‘연조직염’의 증상은 발생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압통을 동반하며, 질병이 진행되면 물집과 고름이 생긴다.
- 단순 염증으로 보이나 초기에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피부괴사, 패혈증, 화농관절염, 골수염 등의 합병증과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연조직염’의 치료법은 약물치료로 항생제, 진통소염제, 경구용 스테로이드 등이 사용되나, 초기치료는 반드시 병원 방문을 통해 상황에 맞는 처방을 받도록 하며 질병초기를 제외하고는 입원하여 치료한다.
□ ‘연조직염’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피부손상을 막는 것이며 무좀, 짓무름 등이 있으면 즉시 치료하여 다른 부위로 전염되지 않도록 한다.
- 모기에 물린 경우 해당 부위를 긁은 후 침을 바르는 행위는 자제한다.
- 야회활동 후 귀가 시에는 샤워를 통해 몸을 청결히 하며 상처부위는 오염 방지를 위해 완전하게 건조시켜 연고를 도포하고 소독 밴드를 붙여 합병증을 예방한다.
==================================================
※ 작성 기준
○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기준(비급여제외)
○ 한방 및 약국 실적 제외
○ 주상병 : 연조직염(L03, cellulitis)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 세부내역 첨부 파일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