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쓰림 및 소화불량'환자 50대 이상 중·노년층이 절반
- 2013년 진료인원 약 79만명,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많아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속 쓰림 및 소화불량(R12, K30)’에 대해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9년 약 65만 1천명에서 2013년 약 79만명으로 5년간 약 13만 8천명(21.2%)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4.9%로 나타났다.
• 총진료비는 2009년 약 185억원에서 2013년 약 256억원으로 5년간 약 72억원(38.9%)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8.6%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속 쓰림 및 소화불량’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39.6%~40.2%, 여성은 59.8%~60.4%로 여성이 약 1.5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속 쓰림 및 소화불량’의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 70대 이상 구간이 17.0%로 가장 높았고, 50대 16.4%, 40대 13.6%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구간은 10대, 20대로 각각 8.9%, 9.0%인 것으로 나타났다.
- 중·노년층의 진료인원이 많고 10, 20대 진료인원이 적은 것은 청소년기에 이루어지는 활발한 신진대사가 원인인 것으로 추측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신체의 신진대사가 떨어져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 연령별 성별비율은 20대 여성이 남성보다 두 배 정도 많아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10세 미만은 남녀 비슷하여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속 쓰림 및 소화불량’ 진료인원은 매월 평균 약 8만명 정도(5개년 평균)인 것으로 나타났다. 9, 10월에는 명절 연휴로 인한 과음, 과식 등으로 진료인원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며, 신진대사가 떨어지고 모임이 많은 겨울철에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속 쓰림 및 소화불량’ 진료인원을 상병별로 보면 2013년 기준으로 ‘소화불량’ 진료인원이 69만명, ‘속 쓰림’ 진료인원이 10만명이었으며, 여성 진료인원의 비중이 각각 약 60%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속 쓰림‘은 소화기관이 자극받았을 때 나타나는 증세로 소화기관에 장애가 발생하는 ’소화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가벼운 ’속 쓰림 및 소화불량‘의 대부분이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 역류성 식도염, 위염, 십이지장궤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 ’속 쓰림 및 소화불량‘이 나타나는 원인은 스트레스, 과식, 불규칙한 식사 등 매우 다양하며, 증상이 있으면 자신의 식습관 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 불안이나 우울, 스트레스, 긴장과 자극 등이 자율신경계를 자극하면 위의 운동이 방해를 받아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남성보다 예민한 성격으로 외부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속 쓰림 및 소화불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음, 과식을 피하고 식사 후에는 소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 20~30분 정도 쉬고 난 뒤 산책 등의 가벼운 활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반드시 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작성 기준
○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기준(비급여제외)
○ 한방 및 약국 실적 제외
○ 주상병 : 소화불량(K30, Dyspepsia)
속 쓰림(R12, Heartburn)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참고자료 1. <속 쓰림 및 소화불량(R12, K30)> 지역별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
2. <속 쓰림 및 소화불량(R12, K30)> 지역별, 연령별 진료인원 현황 (2009년~2013년)
※ 세부내역 첨부 파일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