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상세화면
여름철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담당부서 의료정보융합실, 의료정보분석부 작성일 2016.05.02 조회수

여름철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 심평원 심사자료, ‘모기 매개 감염병’ 진료인원 年 2,000명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해 최근 5년간

 (2011년~2015년) 심사 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 매년 약 2천명의 진료인원이 발생하며,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지만 겨울에도 월 100명 이상이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보다 약 2배 정도 많으며, 전체 진료인원 4명 중 1명(24.8%)은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 ‘모기 매개 감염병’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삼일열원충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과 해외에서

 유입되는 열대열원충 말라리아, 뎅기열 등이 있다.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의 온대에서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여 위험지역(해외)을 방문할 시 예방약 복용 또는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말라리아(삼일열원충)의 경우 인천, 경기, 강원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어 야외활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 본 보도자료의 통계는 의증으로 진료받은 인원도 포함된 수치로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통계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최근 5년간 (2011년~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에서 나타난 ‘모기 매개 감염병‘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 진료인원은 연평균 2,259명으로 나타났으며,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던 해는 2011년으로 2,659명,

  가장 적었던 해는 2015년으로 1,996명이었다.

 
 ○ 총 진료비는 2012년에 약 8억원으로 감소한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15년에는 약 20억원으로 5년간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전체 진료인원은 감소하였지만 1인당 진료비가 높은 ‘모기 매개 바이러스뇌염’ 진료인원이

   증가하여 총 진료비가 증가함.(붙임 참조)

  

□ ‘모기 매개 감염병’ 진료인원 4명 중 1명(24.8%)은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기준 연령구간별 점유율은 전체 진료인원 중 20대 24.8% > 40대 18.4% > 50대 15.8% >

  30대 15.3% 순으로 나타났다.

 
 ○ 대부분 연령층에서 여성보다는 남성 진료인원이 많았으며, 특히 2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2.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운동 등 활발한 야외활동으로 인해 모기와 접촉할 기회가 많아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 ‘모기 매개 감염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시기는 7월로 500명 정도가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모기를 매개로 하여 감염되는 질환이므로 국내 모기의 활동시기와 관련이 있지만 잠복기, 해외여행

  등의 이유로 겨울에 발생하기도 한다.

 
 ○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말라리아 중 ‘열대열원충 말라리아’와 ‘삼일열원충 말라리아’는

  월별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국내 감염(삼일열원충)과 해외감염(열대열원충)의 차이로

  추측된다.

  
□ ‘모기 매개 감염병’은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으로 말라리아, 일본 뇌염, 뎅기열 등이 있다.

 
 ○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이 모기로 인해 인체에 들어오면서 감염되며, 주로 오한, 발열,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감염된 원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삼일열원충

  말라리아가 발생한다.

 
 ○ 모기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이 되어 발생하는 뇌염(일본 뇌염 등)의 경우 감염 초기에 고열, 두통,

  현기증 등이 발생하고 의식장애, 경련, 혼수에 이르기도 한다.

 

□ ‘모기 매개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모기가 서식하는 환경, 특히 위험지역(감염병

 발생지역, 경고지역 등)에 가지 않는 것이다.

 
 ○ 부득이하게 위험지역을 방문할 때에는 모기기피제를 사용하거나 긴 옷을 입어 노출부위를 최소화

  하고, 해외여행(위험지역) 시 예방을 위해 약을 복용(주사 포함)해야 한다.

 
  - 국내 위험지역(말라리아): 경기, 인천, 강원 일부 지역(휴전선 접경지역)

 
  - 해외 위험지역(말라리아):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지역

 
※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16.4.25.) 참고

  

□ 심사평가원 최희경 상근심사위원은 “모기 매개 감염병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스스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잠복기에는 수혈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헌혈 시에는 항상 위험

 지역이나 헌혈 제한지역을 방문했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이동규 교수는 “숲모기는 뒤나 옆에서 주로공격하기 때문에 긴 상하의를

 착용해 팔다리 노출부위를 최소화하고, 목에는 수건 등을 둘러 보호하며, 모기가 옷을 뚫고 흡혈하지

 못하도록 품이 넉넉한 옷을 입는 것은 물론, 모기기피제는 지속 시간을 감안해 3~4시간 간격으로

 적절하게 재도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작성 기준

 
 ○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기준(비급여제외)

 
 ○ 한방 및 약국 실적 제외

 
 ○ 주상병 : 모기 매개 감염병(A83:(양방)모기 매개 바이러스뇌염, A90:(양방)뎅기열[전형적 열],

       A91:(양방)뎅기출혈열, A92:(양방)기타 모기 매개 바이러스열, A95:(양방)황열,

       B50:(양방)열대열원충말라리아, B51:(양방)삼일열원충말라리아,

       B52:(양방)사일열원충말라리아, B53:(양방)기타 기생충학적으로 확인된 말라리아,

       B54:(양방)상세불명의 말라리아)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세부내역 첨부 파일 참조

첨부파일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익스플로러 상단 메뉴중 도구선택 -> 인터넷 옵션 선택 -> 고급 탭 메뉴 선택 후 탐색 하위에 있는
    'URL을 항상 UTF-8로 보냄(다시 시작해야 함)' 체크 박스의 체크를 해제 하시면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목록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