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관소식

보도자료

중환자실 의료의 질, 점차 개선되고 있다
  • 평가관리실 중증질환평가부
  • 2018-08-23
  • 6,316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중환자실 의료의 질, 점차 개선되고 있다
-심사평가원 2차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1등급 64기관, 권역별 골고루 분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중환자실 2차 적정성 평가‘ 결과를 8월 23일(목) 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및 건강정보 앱*을 통해

   공개한다.

    *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또는 건강정보 앱 > 병원·약국 > 병원평가 > 평가수행항목 > 중환자실

< 제2차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주요 내용 >

평가대상

- 2017년 5월~7월(3개월) 중환자실 입원 진료분

* 신생아중환자실, 소아중환자실, 화상환자, 중환자실 입실 48시간 이내 환자 제외

- 282기관(상급종합병원 43기관, 종합병원 239기관), 3만 9,576건

* 평가대상 10건 미만인 기관은 평가 대상에서 제외

 

평가 결과

- (종합점수) 평균 69.2점으로 1차 평가(58.2점) 보다 11.0점 상승

-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1차 평가보다 개선

* 상급종합병원 89.2→96.7점(7.5점↑), 종합병원 52.1→64.2점(12.1점↑)

- (평가등급) 1등급 64기관(22.8%)으로 1차(12기관, 4.6%) 대비 1등급 비율 18.2%p 증가


□ 중환자실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이다. 위급한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인력과 장비는 물론 감염에

   대비한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이에 따라 심사평가원은 중환자실의 균형적이고 지속적인 질 향상을 위해 중환자실 환경과 진료 현황에 대해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 2016년 1차 중환자실 평가 결과를 공개하였고,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중환자실 입원 진료가 발생한 282기관을 대상으로 올해 2차 평가를

  실시하였다.

 

□ 평가지표는 인력·시설 등을 평가하는 구조지표 4개와 진료관련 지표 3개 총 7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분야

지표

구조(4)

1.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2.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3.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4. 중환자실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진료(3)

과정

5.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6.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결과

7.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 구조 분야에서는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를 배치하였는지, ▲간호사 수가 적정한지, ▲시설과 장비 및 ▲진료 프로토콜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평가한다. 2차 평가 결과는 1차 평가에 비해 모든 지표 점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전담전문의 1인이 담당하는 중환자실 병상수) 평균 24.7병상으로 1차 평가 44.7병상에 비해 20병상이 낮아졌다.
   - 중환자실 전담전문의가 있는 기관은 40.1%(113기관)로 1차 평가 결과인 32.8%(87기관) 보다 7.3%p 증가했다.

   - 의료법상 전담전문의 배치가 의무가 아닌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경우에도 1차 평가에서는 19.8% 기관만 전담전문의가 있었으나

      2차 평가에서는 29.3%로 9.5%p 증가하는 등 전담전문의 배치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수) 평균 1.01병상으로 1차 평가 1.10병상과 차이가 크지 않다.
   - 간호사의 3교대 및 휴일근무 등을 고려할 때 1명의 간호사가 돌보는 환자는 4명 정도로 *미국·일본 등과 비교 시 다소 높은 편이다.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환자당 중환자실 간호사 수 배치 비율을 1:2로 법 제정, H.R.2392-115th Congress(2017-2018), 2017.
         (일본) 보건성 - 환자당 중환자실 간호사 비를 1:2로 표준 기준 정함, 1975.

 

 ○ (중환자실 전문 장비와 시설 구비 여부) 2차 평가 결과, 시설 구비 수준은 1차 3.6점보다 증가한 4.0점이다. 특히, 종합병원 중 6종 모두를 갖춘 기관은

   239기관 중 49기관이다.

≪ 전문장비 및 시설 6종(1종 당 1점)≫

① 동맥혈가스분석기 ② 이동식인공호흡기 ③ 지속적 신대체요법 기기

④ 기관지내시경 ⑤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를 위한 독립공간 ⑥ 격리실

 ○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중환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따라 적정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은 1차 평가에서 82.9%로

     평가되었고, 2차 평가에서는 대부분 기관(95.4%)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프로토콜 9종 ≫

① 입실 ② 퇴실 ③ 인공호흡기 이탈 ④ 진정·진통·섬망

⑤ 심부정맥혈전 예방 ⑥ 스트레스 궤양 예방 ⑦ 저환기 요법

⑧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⑨ 중심도관 삽입 시 최대멸균주의지침


□ 진료 분야는 다양한 상태의 환자와 질병이 공존하는 중환자실 진료환경을 고려하여 진료과정과 결과 분야를 평가하였다.

 ○ 진료과정은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비율,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진료결과는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을 지표로 평가했다.

 ○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비율) 인공호흡기 치료 대상자의 경우 움직이지 않는 자세에서 발생하기 쉬운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가 중요하다.
   - 이번 평가 결과 인공호흡기 치료 환자 중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을 실시한 비율은 88.6%로 나타나, 1차 평가 결과 72.3%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는 표준화사망률을 관리하는 기관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2차 평가 결과는 72.0%로 나타나 1차 평가 46.0%에 비해 26.0%p 상승했다.
   - 특히 종합병원은 66.9% 기관이 표준화사망률을 평가하여, 1차 평가 시 36.5%보다 30.4%p가 향상되어 의료기관의 질 향상 노력이 두드러졌다.
      * 표준화사망률은 실제 사망자 수와 중증도 도구로 계산한 예측사망자 수의 비율

 ○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갔다가 48시간 이내에 재입실한 환자 비율을 확인하는 지표이다.
   - 평균은 1.6%로 1차 평가 1.3%보다 0.3%p 증가하였다.
   - 2차 평가에 새로이 평가 대상이 된 33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재입실률이 전체 평균보다 2배 정도 높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진다.

 

□ 최종 평가결과는 지표값과 가중치를 종합하여 기관별 종합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5등급으로 구분하여 공개한다.

 ○ 2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 평균은 69.2점으로 1차 평가 58.2점 보다 11.0점 상승하였고, 1차 평가에서 12기관에 불과했던 1등급 기관은

     64기관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모든 권역에 분포하고 있다.
   - 상급종합병원은 1차보다 7.5점 상승한 96.7점으로 나타났고, 종합병원도 1차보다 12.1점 상승한 64.2점으로 나타나 의료기관의 의료 질 개선

      노력이 두드러졌다.

 

□ 심사평가원 박인기 평가관리실장은 “2차 평가에서 중환자실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1등급 기관이 크게 증가한 것은 중환자실 수가 개선 등 외부적인

   요인도 있지만 전담인력 배치, 프로토콜 구비,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등 의료기관의 질 개선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라고 밝혔다.

 ○ 또한 “평가 결과를 공개 한 뒤 등급이 낮은 기관에 대한 개별 상담을 통해 질 향상 활동을 지원하고, 이후 관련 학회, 소비자 단체 등과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3차 평가계획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붙임] 1. 중환자실(2차) 평가 1등급 요양기관 지역별 현황
           2. 홈페이지 평가결과 확인방법 안내
[참고자료] 2017년도(2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심사평가원 의정부지원, 의료취약 지역 봉사 실시
다음글
심사평가원, ‘2018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공공기관상’ 수상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