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활용 국제 공동연구 결과 JAMA 학술지 게재
  • 빅데이터실 빅데이터연구부
  • 2020-10-28
  • 3,727
  • 20201028(배포즉시)_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활용 국제 공동연구 결과 JAMA 학술지 게재 첨부파일 다운로드
  • 20201028(배포즉시)_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활용 국제 공동연구 결과 JAMA 학술지 게재[별첨]노연숙 부장 약력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활용 국제 공동연구 결과 JAMA 학술지 게재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환자의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후 이중항혈소판요법(DAPT)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 필요성 제시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 아주대학교·미국 예일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심사평가원의 청구데이터와 미국 병원데이터를

  활용한 협력연구를 통해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환자의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시술 후 복용하는 항혈소판 제제 효과 비교연구 결과’를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발표하였다.

 

   * 공동 제1저자 : 아주대 유승찬 연구원, 심사평가원 노연숙 박사, 교신저자 예일대 의대 Harlan M Krumholz 교수

 

□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클로피도그렐 대비 티카그렐러 복용환자군의 1년차 NACE(net adverse clinical event, 허혈성 사건과 출혈성 사건의

  복합변수)의 위험비 및 허혈성사건 위험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 출혈성 사건의 위험도는 티카그렐러 복용환자 군에서 30% 이상 유의미하게 높다고 밝혔다(위험비 1.35, 신뢰구간 1.13-1.61).

 

 ○ 항혈소판 제제는 ACS 환자가 PCI 시술 후 1년간 복용해야 하는 약제다. 현재 주요국의 가이드라인에서는 2009년 발표된 무작위임상시험(RCT)인

   PLATO 연구를 토대로,

 

  - 기존 P2Y12 억제제인 ‘클로피도그렐’ 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티카그렐러’를 우선 처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이번 연구는 한국과 미국 환자의 실제임상데이터(RWD)를 토대로 수행한 연구 결과가 10년 전 수행된 무작위임상시험(RCT) 연구 결과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활발한 실제임상데이터(RWD) 활용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 바람직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특히 세계 최고 권위의 의학학술지인 미국의학협회저널(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 피인용지수 45.54)에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심사평가원 데이터의 국제적 활용 가능성과 높은 연구 역량이 확인 됐다. 

 

□ 이번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심사평가원 노연숙 빅데이터연구부장은 ”본 연구는 심사평가원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국제적으로 소통 가능한 방식으로

  표준화(OMOP-CDM)하는 등 수준 높은 근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하며,

 

 ○ ”이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보건의료빅데이터 활용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 이라고 의미를 강조했다.

 

□ 또한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아주대학교 유승찬 연구원(전문의, 박사과정)은 ”이번 연구결과는 작년에 발표된 한국인 800명 대상 무작위임상시험인

  TICA-KOREA 연구 및 올해 발표된 네덜란드의 POPular AGE 연구와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밝히며,

  

 ○ ”다만, 이번 연구는 무작위임상시험이 아닌 관찰연구로 해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심사평가원 이진용 연구소장은 “HIRA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세계적 학술지인 JAMA에 게재되는 쾌거를 이루었다”며,

 

 ○ “앞으로도 HIRA 심사평가연구소는 국내외 임상전문가와의 협업 및 내부 연구를 통해 해외 유수의 저널에 연구결과가 실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별첨] 노연숙 빅데이터연구부장 약력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코로나19 대응 지식과 경험, 아세안 국가와 공유한다!
다음글
심사평가원, 건보공단 「2019년 의료급여 통계연보」공동 발간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