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심사평가원, 처치 및 수술료 EDI-SNOMED CT 매핑 결과 공개
  • 빅데이터실 빅데이터연구부
  • 2021-06-01
  • 3,233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심사평가원, 처치 및 수술료 EDI-SNOMED CT 매핑 결과 공개
- 국내 의료행위 분류 용어 표준화 기틀 마련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처치 및 수술료 영역’EDI코드 2,628개에 대해 SNOMED CT 매핑을 완료하고

 그 결과를 1일 공개했다.

 

 ○ EDI*코드는 진료비 청구, 심사, 지급을 위해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의사소통 수단이고, SNOMED CT**는 체계적으로 구조화돼

 전산처리 가능한 국제 의료용어체계다.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SNOMED CT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 EDI-SNOMED CT 매핑은 의료행위 분류 용어 표준화를 통해 국내 의료행위 용어와 국제표준체계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고,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높이고자 추진됐다.

 

 ○ 매핑 결과는 국제 비교 연구가 가능한 표준 데이터셋 구축에 적용돼 수용성 있는 임상근거 자료 생산 등에 활용된다.

 

□‘처치 및 수술료 영역’EDI-SNOMED CT 매핑 결과 보고서는 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opendata.hi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고, 책자로도 제작해 유관기관 등에 배포된다.

 

   * 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opendata.hira.or.kr -고객지원-공지사항

 

 ○ 또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엑셀 파일을 제공하고, 홈페이지 내 검색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 아울러 심사평가원은 매핑 결과 유지보수를 위해 의견 수렴 창구*를 운영해 정기적으로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표준화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의료 용어 표준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 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opendata.hira.or.kr -고객지원 - 개선의견

 

□ 박한준 빅데이터실장은 “여러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의료행위 용어 표준화 작업이 이번 매핑 결과 공개를 통해 하나로

 수렴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 “처치 및 수술료 EDI-SNOMED CT 결과가 의료 현장에서 수용성 높은 매핑 테이블로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안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심사평가원 공식 학술지「HIRA Research」창간호 발간
다음글
심사평가원 수원지원, ‘2021년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참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