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심평원, 재택치료 해외사례 공개
  • 심사평가연구실자원정책연구부
  • 2021-12-20
  • 2,323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심평원, 재택치료 해외사례 공개

- 외국은 코로나19 발병 초기부터 재택치료 원칙으로 대응, 뒤늦게 출발했으나 세밀한 국내 재택치료 가이드라인, 유연한 의료대응체계로 자리잡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코로나19 대응 전략 개편방안 연구(연구책임자 권오탁 박사) 외국의 재택치료 운영체계에 대해서 추가 상세자료를 발표했다.

 

지난번 자료*에 이어 좀 더 상세한 외국의 재택치료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선진국이 코로나19 발병 초기부터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재택치료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환자 스스로가 모니터링하는 체계로 운영되고 있었다.

 

* 코로나19 무증상경증환자 재택치료선택 아닌 필수,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한 선진국의 결단(’21.12.8, 심사평가원)

 

반면, 우리나라는 모든 확진자에게 입원치료(생활치료센터 포함)제공해오다가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11.1.) 이후 모든 확진자 대한 재택치료 원칙으로 전환(11.26.).

 

우리나라의 재택치료 체계를 살펴보면, 재택치료자를 대상으로 12 건강모니터링 비대면 진료 및 단기·외래진료센터를 통한 대면진료 지원,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고령자·기저질환자에 대한 집중관리(13회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고 있다.

 

주거환경 등으로 재택치료가 어려운 상황에 대비하여 별도의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외국의 재택치료 체계와 차이가 있다.

 

이번 발표에 추가된 자가격리 사례를 살펴보면, 영국·싱가포르·미국·일본·독일에서는 자가격리자를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은 제공하나 모니터링을 위한 별도의 행정력을 투입하지 않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재택치료자 뿐 아니라 확진 의심자인 자가격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전담공무원 1인당 평균 1.95명의 자가격리자 모니터링(‘21.12.12.기준)

 

재택치료자 건강모니터링의 경우, 영국·독일은 별도 모니터링을 하지 않으며, 영국·싱가포르는 앱 또는 웹사이트에 건강상태 및 증상 등을 본인이 기록하는 자기기입이다. 반면 미국·일본 보건소 등 공적기관에 의한 건강상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다.

 

재택치료자 의료서비스 지원의 경우, 영국·싱가포르·미국에서는 지역의료기관에서 필요시 원격의료서비스제공하고 있다. 독일은 건강모니터링 대신 증상 악화 시 주치의와 상의하며, 1 의료기관을 통한 외래진료 가능하나 원격진료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재택치료 체계가 외국에 비해 보다 세밀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단기·외래진료센터를 통한 대면진료, 검사 및 항체치료제(렉키로나주) 투여 등 선제적으로 의료대응체계 확충해가고 있어 빠른 시일 내에 폭넓은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과 한정된 의료자원을 감안하여 재택치료내실화하는 것이 의료대응체계를 보다 일상화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별첨. “재택치료관련 해외사례 검토(영국, 싱가포르, 미국, 일본, 독일)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심평원, “한 눈에 보는 차등제 신고방법”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
다음글
심평원, ‘데이터 품질대상’ 수상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