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사평가연구실 국제정책연구부
- 2023-02-28
- 4,199
- 20230228(배포즉시)_심사평가원, 한국의 전 국민 수준 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연구결과 국제학술지 발표 첨부파일 다운로드
- 20230228(배포즉시)_심사평가원, 한국의 전 국민 수준 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연구결과 국제학술지 발표 첨부파일 다운로드
- Incidence, Severity, and Mortality of Influenza During 2010–2020 in Korea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심사평가원, 한국의 전 국민 수준 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연구결과 국제학술지 발표
- 인플루엔자의 65.0%가 20세 미만, 반면 사망은 60세 이상이 80.0% 차지 -
- ‘80세 이상’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 중증이환, 사망 위험 높아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은 2023년 2월 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플루엔자의 발생률, 중증화율 및 사망률 현황’ 연구 결과를 대한의학회의 영문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
□ 연구팀(일저자: 황수희 부연구위원과 이혜진 교수, 교신저자: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과 오명돈 교수)은 2010~2020년에 인플루엔자로 진료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인플루엔자 발생 현황과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 연령군별 인플루엔자 발생률, 사망률*, 중증화율**을 산출하고,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 중증이환과 사망의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 인플루엔자 사망률은 인플루엔자로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진단 후 28일 내 모든 원인으로 사망한 환자로 산출
** 인플루엔자 중증도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코로나19 중증도 분류와 인플루엔자 치료제 임상시험시 적용하는 분류를 기반으로 4개 범주로 분류: 경증(걸을 수 있는 상태), 중등도(비중환자실 입원 또는 산소요법 치료), 중증(중환자실 입원 또는 침습적 기계 환기), 사망
□ 2010-2020년 동안 전 국민의 0.4~5.9%에서 인플루엔자가 발생했고, 이 중에서 입원 9.7~18.9%, 중환자실 입원 0.2~0.9%, 사망 0.03~0.08%였다.
○ 2005년 일반 인구집단을 기준으로 연령-표준화한 인플루엔자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424.3~6847.4건, 인플루엔자 환자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0.2~1.9건이었다.
□ 인플루엔자 환자의 중증화율은, 경증 81.1~90.3%, 중등도 8.9~18.4%, 중증 0.2~0.9%였다.
○ 연령군별로 보면, 경증 환자 중에서 4세 이하 환자(70.1~84.2%)가 가장 높았고, 중증 환자 중에서는 80세 이상(1.6~8.6%)이 가장 높았다.
○ 인플루엔자 환자 중에서 사망률은 80세 이상(1.9~2.9%)에서 가장 높았고, 4세 이하, 5-19세, 20-49세 환자는 0.01% 미만으로 가장 낮았다.
□ 2018년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과 중증이환*의 위험은 다른 연령군에 비해 80세 이상과 4세 이하에서 높았고, 의료급여 환자와 동반질환이 많은 환자에서 위험도가 높았다.
* 중증이환: 중환자실 입원 또는 침습적 기계환기 치료를 받은 경우로 정의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고, 반면에 4세 이하 영유아에서는 사망 위험이 낮았다.
○ 이와 함께 남성, 의료급여환자, 동반질환이 많은 환자도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 연구팀 1저자인 황수희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인플루엔자 감시체계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전 국민 수준의 인플루엔자의 발생률, 중증화율 및 사망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위험 요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오명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급성 호흡기 감염병 발생 시, 이들 질환의 중증도를 파악하여 기초자료 제공 등 방역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심사평가원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은 “우리원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건 정책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전 국민 수준의 인플루엔자 발생부담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고 말하며,
○ 아울러, 신종 감염병 관리 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인플루엔자로 인한 중증이환과 사망 위험이 높은 사람들에 대한 백신과 항바이러스제 처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