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우울증 외래 2차 평가결과, 동네의원 향상
  • 평가운영실 심뇌질환평가부
  • 2024-11-14
  • 3,943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우울증 외래 2차 평가결과, 동네의원 향상

- 심사평가원 우울증 외래 2차 평가결과 공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14일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과 모바일 앱(건강e)을 통해 2023(2)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 > 의료정보 > 의료평가정보 > 병원평가 > 병원평가 검색 > 평가항목정신건강’> 세부항목우울증 외래

** 모바일 앱(건강e)> HIRA 건강지도 > 병원평가 정보 > 기타 >우울증 외래

< 2023(2)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 주요내용 >

평가대상

(대상기간) 202316(6개월) 진료분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의원까지 4,114개소

(대상환자) 18세 이상 우울증으로 외래를 방문한 신규환자

 

평가결과

종합점수 47.0점으로 1차 대비 3.8점 상승, 1등급 895개소

 

우울증은 누구나 겪을 수 있고,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 평생 동안 한 번 이상 우울증을 경험하는 비율은 7.7%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질병이며, 우울감을 자주 경험한 성인의 자살생각률은 16.8%, 우울감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1.6%) 보다 10배 이상 높다.

 ○ 최근 6년간(2018~2023) 우울증으로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는 매년 증가추세로, 23년에는 18년 대비 36.8% 증가한 1441,676이다.

 

 ○ 우울증 환자의 70~90%는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증상이 완화되더라도 유지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50~80%는 재발할 위험이 있어,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도 필요하다.

 

이에, 심사평가원은 국민이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치료기회를 놓치지 않고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고, 우울증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를 수행했다.

 

이번 2차 평가대상은 20231월부터 6월까지 외래에서 우울증 환자를 진료한 4,114개소로, 평가결과 종합점수는 평균 47.0점이며, 1등급 우수기관은 895개소(21.8%)이다.

 

 ○ 평가기준은 6개로, 주요 내용은 우울증 치료 효과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환자를 주기적으로 재방문하도록 했는지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우울증상을 객관화된 평가도구로 평가했는지, 우울증 재발이 없도록 항우울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하도록 처방했는지 등이다.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은 각각 42.3%, 23.3%1차 대비 2.9%p, 1.8%p 증가했다.

 

 ○초기평가 시행률44.7%1차 대비 13.3%p 증가했고,

 

 ○재평가 시행률14.1%8.5%p 감소했으나, 이는 산출기준이 달라졌기 때문이며 1차와 동일 기준을 적용하면, 시행률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도 각각 28.0%, 17.4%1차 평가 대비 2.2%p, 1.0%p 증가했다.

 

전미주 평가운영실장은이번 2차 평가는 우울증 환자가 주로 이용하는 동네의원의 결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지표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심사평가원은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우울증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갈 계획라고 밝혔다.

 

 ○ 이와 함께, “우울증 증상이 있으면 심사평가원의 평가정보를 활용해 주저하지 말고 의료진에게 상담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붙임1] 2023(2)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 결과

[붙임2] 지표 정의 및 산출식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2024년 제8차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결과 공개
다음글
심사평가원, '세계 당뇨병의 날' 맞아 당뇨병 진료현황 발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