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여정보분석실급여정보분석부
- 2021-11-29
- 5,118
- 20211129(배포즉시)_암 검진 수검률 감소로 신규 암 진료 환자수 줄어들어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암 검진 수검률 감소로 신규 암 진료 환자수 줄어들어...
지속적인 암 질환 의료이용 모니터링으로 국민 건강관리 유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29일 코로나19 장기화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국민에게 적극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암 질환의 의료이용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암 질환의 의료이용 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최근 5년간(’16-’20) 암 진료 환자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나, 최근 1년간 신규 암 진료 환자수는 3.0% 감소했다. 이는 암 검진 수검률과 암 진단 검사 실시 환자수의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최근 5년간 암 진료 환자수는 지속 증가 추세로 ’20년에는 ’19년 대비 3.2% 증가했다.
- 또한, 전년도에 진료 받은 암 환자가 당해 연도에 암 질환으로 계속해서 진료 받은 비율(이하 ‘재진비율’)도 전년도보다 1.5%p 상승한 75.7%로 나타나 기존 암 질환자는 꾸준히 의료이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 그림1 > 암 진료 환자수 |
< 그림2 > 암 환자 재진비율 |
|
|
○ 다만, 신규 암 진료 환자수는 지난 4년간(’16-’19) 연평균 4.0% 증가한 반면, ’20년에는 ’19년 대비 3.0%가 감소했다. <붙임1 암 질환 참고>
- 특히, 연령별로는 ‘40~50대’와 ‘70대’에서, 암종별로는 ‘위암’과 ‘결장암’에서 신규 진료 환자수가 비교적 크게 감소했다.
< 그림3 > 연령별 신규 암 진료 환자수 |
< 그림4 > 주요 암종별 신규 암 진료 환자수 |
|
|
○ 2021년 6월 ‘e-나라지표’에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20년 국가 무료 암 검진 수검률이 ’19년 대비 6.4%p 감소했고, 위?간?대장?유방?자궁경부암 모두 수검률이 감소했다.
- 또한, 심사평가원에 청구된 위?결장?직장?유방암 관련 진단검사 실시 환자수도 지난 4년간(’16-’19) 꾸준히 증가하다가 ’20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5 > 국가 암 검진 수검률 |
< 그림6 > 암 관련 진단검사 실시 환자수 |
|
|
□ 암 진료 전문가는 “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암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암 검진 수검률 감소로 암 조기 진단이 지연 될 수 있고, 조기 진단이 늦어질 경우에는 환자 예후와 사망률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했다.
□ 외국 연구 자료는 ’20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암 스크리닝검사 5종의 실시횟수가 60%에서 82%까지 감소했고, 동 시기에 암 진단도 19%에서 78%까지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고, <붙임3-1 국외 연구자료 참고>
○ 또 다른 연구에서는 유방촬영검사의 급격한 감소로 유방암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지면 2030년까지 유방암 누적 사망 환자수가 0.52%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장기적으로 건강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우려하는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붙임3-2 국외 연구자료 참고>
□ 따라서, 암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국가 암 검진 등을 정기적으로 수검하고, 암 가족력 등 위험요인이 있거나 주요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에 적극적으로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심사평가원 안미라 급여정보분석실장은 “앞으로도 의료이용 행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국민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사항을 적극 발굴하고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안내하겠다”고 전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