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심사평가원, ‘치과 외래 진료현황 분석’ 발표
  • 급여정보분석실 급여정보운영부
  • 2023-07-20
  • 11,912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심사평가원, ‘치과 외래 진료현황 분석’ 발표
 
- 2022년 치과 외래 방문 환자 수는 2,424만 명, 전 국민의 47.1% 이용 -
 

<주요 내용>

[치과 외래 진료] 202210명 중 4.7명은 치과 외래 진료 이용

- ’22년 환자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0~9, 223만 명(10명 중 6.3)이 치과 외래 방문

* 환자비율(%)2022년 건강보험 치과 외래 연령별 환자 수/연령별 인구수

(행정안전부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연령별 인구현황 기준)

[치과 질환] 2022년 치은염 및 치주질환 환자 수가 1,809만 명으로 가장 많음

- 연령별 1순위 질환은 19세 이하에서는 치아우식, 20세 이상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임

[치과 주요 시술] 2022년 시술별 환자비율은 치아 홈메우기(19세 이하) 8.6%, 충치치료 10.7%, 스케일링 29.7%, 임플란트(65세 이상) 8.7% 및 틀니(65세 이상) 2.9%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의 주요 치과 시술 추이를 포함한 치과 외래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22년 치과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424만 명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47.1%에 해당하며, 이는 ’18년 대비 5.9% 증가한 수치이다.
 
 ○ 최근 5년간 연령별 치과 외래 환자 수는 80세 이상 45.3%(연평균 9.8%), 60~69세 30.4%(연평균 6.9%), 70~79세 18.3%(연평균 4.3%) 순으로 증가했다.
 
 ○ ’22년 연령별인구 출처: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연령별 인구현황 대비 진료 받은 환자 수 현황을 보면, 0~9세 223만 3,975명(63.2%), 60~69세 401만 1,802명(54.2%), 70~79세 204만 5,660(53.5%) 순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치과질환
 
□ ’22년 치과 외래 다빈도 질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 1,809만 549명(35.2%), 치아우식 612만 9,016명(11.9%),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347만 9,148명(6.8%) 순이다.
 
 ○ 1인당 내원일수는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3.2일,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 2.7일, 치은염 및 치주질환 2.1일 순이며,
 
 ○ 1인당 외래진료비는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 110만 6,004원,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16만 740원, 매몰치 및 매복치 12만 9,291원 순으로 나타났다.
 
□ ’22년 연령대별 다빈도 질병을 보면, 19세 이하는 치아우식(27.2%), 치아의 발육 및 맹출 장애(21.5%) 순이고, 20~59세는 치은염 및 치주질환 (38.4%), 치아우식(9.1%) 순이고, 60세 이상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41.0%),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9.5%)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치과 시술
 
□ 최근 5년간 치과 주요 시술 진료 현황을 보면, 치아 홈메우기와 틀니는 ’18년 대비 환자 수가 감소한 반면, 충치치료, 스케일링, 임플란트는 증가했다.
 
 ○ ’22년 환자비율(인구대비 환자 수)을 보면, 스케일링(치석제거)은 전체 인구의 29.7%인 1,525만 8,463명, 충치치료는 전체 인구의 10.7%인 552만 5,738명이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22년 치아 홈메우기(19세 이하)는 5~9세에서 38만 4,942명(전체의 54.4%)으로 가장 많이 시술 받았으며, 10~14세에서 26만 6,703명(전체의 37.7%)으로 나타났다.
 
□ ’22년 연령대별 충치치료 환자 수는 60~69세 105만 142명(전체의 19.0%), 50~59세 96만 1,218명(전체의 17.4%), 0~9세 92만 463명(전체의 16.7%) 순으로 나타났다.
 
□ ’22년 스케일링(치석제거) 환자 수는 50~59세 308만 4,246명(전체의 20.2%)에서 가장 많으며, 최근 5년간은 0~9세 100.4%(연평균 19.0%), 80세 이상 92.4%(연평균 17.8%), 70~79세 47.9%(연평균 10.3%) 순으로 증가했다.
 
□ 최근 5년간 임플란트와 틀니 시술 환자 수를 보면, 임플란트는 65세 이상 전 연령에서 증가한 반면, 틀니는 65세 이상 전 연령에서 감소했다. 특히 임플란트는 65~69세에서 가장 많이 늘었고(▲59.8%), 틀니는 70~74세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37.5%).
 
□ 하구자 급여정보분석실장은 “연령대별로 보면, 소아·청소년은 치아우식, 성인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치과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 “소아·청소년은 올바른 양치습관을 통해 충치를 관리하고 성인은 정기적인 치과검진으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을 사전에 예방하여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또한,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 병원·약국 찾기를 통해 내 주변 병원정보와 진료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심평원 대전지원, 한민시장 상인회와 업무협약 체결
다음글
심사평가원, 건강보험 국제연수과정 성료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