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여성
골다공증

질병 개요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될 수 있는 골격계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은 노화로 인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차성 골다공증과 여러 질환이나 약물 등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은 그 자체만으로는 증상이 없으나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 한 질환입니다.
위험요인 및 증상
노화가 골다공증의 가장 주요원인이며 여성은 폐경이 이뤄지면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약물 중 부신피질호르몬제, 항암제 등이 골다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증상으로는 주로 골밀도가 낮아져 골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환자수 현황 (단위 : 만 명)


그림1. 골다공증 최근 5년간 환자수현황입니다. 2018년 98.1만명, 2019년 108.5만명, 2020년 105만명, 2021년 114.1만명, 2022년 118.4명 입니다.
1인당 진료현황 (2022년 기준)
입원일 경우
-
- 1인당 입원일수
- 8.9일
-
- 1인당 입원 진료비
- 176.8만원
외래일 경우
-
- 1인당 내원일수
- 2.9일
-
- 1인당 외래 진료비
- 17.8만원
※진료비는 보험자부담금(급여비)과 환자본인부담금을 합한 금액임
세부 통계 (2022년 기준)
-
- 여성 주민등록인구* 대비 여성 환자수 비율
- 4.6%
-
- 연평균(2018~2022년) 환자수 증감률
- 4.8%
-
- 성별 환자수 비율
- 여성(94.4)%
(*주민등록인구 : 2022년 전국 총인구수,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22년 전체 환자수 대비 연령대별 비율


그림2. 골다공증 2020년 전체 환자수 대비 연령대별 비율입니다. 9세이하는 0.0%, 10대 0.0%, 20대 0.1%, 30대 0.4%, 40대 1.9%, 50대 16.7%, 60대 38.3%, 70대 30.9%, 80세 이상은 14.9% 입니다.
함께 유의해야 할 질병
-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 무릎관절증
- 등통증
질병 정보
치료 및 예방
골다공증의 치료로는 골흡수 억제제 등 골다공증 관련 약제를 복용하며 골다공증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고 칼슘과 비타민D 섭취 등이 필요하며, 흡연자일 경우는 금연을 실시해야 합니다.
질병 코드
질병 코드 | 질병 명칭 |
---|---|
M80 | 병적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 |
M81 | 병적골절이 없는 골다공증 |
M82 |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골다공증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