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당뇨병·고혈압 방치하면 혈액투석 위험 높아져
  • 평가실 평가1부
  • 2022-04-07
  • 3,859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당뇨병·고혈압 방치하면 혈액투석 위험 높아져
- 혈액투석 환자의 3명중 2명 꼴로 당뇨병·고혈압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2009년부터 수행한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자료로 혈액투석 환자의 원인질환을 분석해

  결과를 발표했다.

 

 ○ 정기적으로 외래를 찾아 혈액투석 하는 환자의 원인질환을 살펴본 결과 전체 68.6%가 당뇨병·고혈압인 것으로 나타났다.

 

 ○ ’18년 혈액투석 평가대상 환자 31,238명 중 당뇨병이 12,749명(40.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혈압이 8,691명(27.8%)으로 많았다.
    ※당뇨병 (’09) 5,203명(36%)→(’18) 12,749명(40.8%), 고혈압 (’09) 3,850명(26.6%)→(’18) 8,691명(27.8%)

 

□ 당뇨병과 고혈압을 관리하지 않아 혈당과 혈압이 기준치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콩팥의 작은 혈관이 손상돼, 결국 혈액 속 노폐물을 거르는

  콩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만성 콩팥병에 이를 수 있다.

 

 ○ 만성 콩팥병이 말기신부전으로 악화되면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이 불가피하며, 그 중 혈액투석이 보편화 돼 있다.

 

 ○ 대한신장학회 김성남 보험법제이사는 “당뇨병으로 인한 투석환자는 다른 원인질환 환자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므로, 만성 콩팥병을 예방하기

   위해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한다”고 권했다.

 

□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신장 기능을 대신하는 치료로, 환자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을 인공 신장기를 이용해 제거해 주는 방법이다.

 

 ○ 혈액투석 환자는 주2~3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해 장기간 혈액투석을 하므로 투석을 하는 의료기관의 질이 매우 중요하다.

 

  - 질 높은 기관에서 투석을 받아 관리하면 일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고,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심사평가원은 혈액투석 환자와 가족이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를 실시해, 진료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공개하고 있다.

 

 ○ 평가내용은 인공신장실의 인력·장비·시설, 혈액투석 환자의 혈관관리, 필수정기검사, 혈액투석 적절도, 무기질 관리, 빈혈관리 등 13개 항목이다.

 

 ○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는 평가지표별 결과를 종합 점수화하여 국민이 알기 쉽게 1~5등급으로 공개하고 있다.

 

  - 최근 공개된 평가결과에서는 평가대상 의원 380개소 중 204개소(53.7%)가 1~2등급에 분포했다. (1등급 21개소, 2등급 183개소)

 

  - 의원의 혈액투석 전문 의사, 2년 이상 경력직 간호사의 비율이 높아 1~2등급 기관 비율이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고, 특히 혈액투석 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비율은 의원이 가장 높았다.

 

□ 조미현 평가실장은 “심사평가원은 혈액투석 기관의 질적 수준을 최대한 반영해 평가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평가결과가 혈액투석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는 누리집*과 이동통신앱(건강정보)**을 통해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 7차 평가결과는(대상기간: 2020년 10월

  ~2021년 3월 진료분) 오는 하반기에 공개 될 예정이다.

 

        *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 > 병원·약국 > 병원평가정보 >혈액투석
      ** 심사평가원 이동통신 앱 ‘건강정보’ > 병원평가정보 > 혈액투석

 

 

 〔붙임〕1. 콩팥건강을 지키는 생활수칙(대한신장학회 제공)
             2. 병원평가정보 이용방법(홈페이지, 건강정보 앱)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2022년 제4차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결과 공개
다음글
심평원 부산지원, 「도시 숲 조성 나무심기 행사」 실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