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약품정보관리부
- 2022-06-28
- 1,335
- 20220628(배포즉시)_심평원, 의약품 유관단체들과 2022년도 합동 워크숍 개최 첨부파일 다운로드
- 20220628(배포즉시)_심평원, 의약품 유관단체들과 2022년도 합동 워크숍 개최[별첨2] 첨부파일 다운로드
- 20220628(배포즉시)_심평원, 의약품 유관단체들과 2022년도 합동 워크숍 개최[별첨1]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심평원, 의약품 유관단체들과 2022년도 합동 워크숍 개최
- 의약품 유통 정보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차세대의약품디지털플랫폼” 에 뜻 모아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은 지난 24일 더케이호텔에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및 한국의약품유통협회, 의약품 제조·수입·유통업체 등 의약품 유관단체를 대상으로 “의약품 유통 가치창출의 場 차세대의약품디지털플랫폼”을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했다.
○ 워크숍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약업계의 노력으로 안착된 공급보고 제도 및 의약품 유통관리종합정보시스템(KPIS system)의 성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의약품 공급정보의 가치를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의약품디지털플랫폼’ 구축 필요성에 공감했다.
□ 워크숍은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정보 활용의 전제 조건인 정합성을 위해 ▲사용자 ▲제공자 ▲관리자가 함께 노력하는 방안을 논의했고,
○ 두 번째 세션에서는 향상된 정합성을 기반으로 정보 가치 창출을 위한 차세대의약품디지털플랫폼 구축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 제약업계에서는 ‘도매에 재고약이 있었음에도 품절이 발생한 루게릭 치료제 사례를 언급하며 환자진료를 위한 공급정보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아울러, 적정생산관리, 폐의약품 최소화 등 기업의 효율성 향상 및 ESG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의약품 플랫폼 구축을 요구했다.
□ 유통업계에서는 정보 활용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지만, 도매상의 영업정보 노출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이해관계자 간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 종합토론에서는 의약품 공급정보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나 이견이 있을 수는 있으나 이는 공익적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하며, 정보 개방은 시대적 요구임을 강조했다.
○ 또한, 유통단계마다 해당 의약품 정보 및 이력을 추적·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 워크숍 좌장을 맡은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은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데이터를 개방해 여러 이해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국민입장에서도 의약품디지털플랫폼이 잘 활용될 수 있도록 많은 제언을 하겠다” 전하며 의약품 소비자인 국민도 의약품 정보 사용 주체로서 참여가 필요하며 차세대의약품디지털플랫폼 구축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 이소영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장은 “2007년 구축된 현 KPIS의 기능적 한계로 인해 출고 시 보고되는 의약품 공급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 “차세대의약품디지털플랫폼 구축을 통해 의약품 공급보고 제도의 1차적 목적인 의약품 유통 투명화를 실현하고 의약품 정보의 맞춤형 활용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