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보도자료

의약품 성과기반 급여관리 방안 공청회 성료
  • 심사평가연구실 의약기술연구부
  • 2023-11-21
  • 879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의약품 성과기반 급여관리 방안 공청회 성료

- RWD/RWE 활용을 통한 의약품 성과기반 급여관리 방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 1120(),의약품 성과기반 급여관리 방안 공청회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장대영)과 공동 주최했다.

 

이번 공청회는 심평원 및 대한항암요법연구회가 공동으로 추진한 연구용역 내용 및 향후 실제임상근거(RWE)를 활용한 의약품 성과평가 급여 관리 방안에 대해 임상전문가, 학계 및 정부 측 전문가들이 함께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심사평가원 함명일 연구소장은 개회사를 통해 향후 증가하는 초고가 의약품 등의 급여관리를 위한 실제임상데이터를 활용한 급여재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맹치훈 경희대 의과대학 교수는 국내 RWD로 병원진료기록(EMR) 청구자료를 전향적, 후향적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여 진행성 위암 약제의 국내 환자의 치료 결과를 발표했으며,

 

안정훈 이화여대 융합보건대학 교수는 직접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EQ-5D(EuroQoL Group의 삶의 질 평가 도구)의 효용과 임상결과를 적용하여 진행성 위암 약제의 비용-효용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심사평가원 변지혜 부연구위원은 그간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의약품 성과평가 급여관리를 위한 RWE 가이드라인을 발표를 통해 향후 RWD에 의한 성과평가 급여관리 방향성을 제안했다.

 

이후 패널토론에서 학계는 의약품 성과평가 기반 급여관리를 위해 RWE 단점을 보완하고 의사결정의 투명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정부 측에서는 학계 의견을 공감하는 한편, 성과기반 급여관리의 긍정적 의견을 제시했다.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심사평가원, 2023 강원 정보보호 컨퍼런스 개최
다음글
심사평가원, 내부통제위원회 출범으로 자율적 내부통제체계 강화에 박차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