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실 빅데이터전략부
- 2024-03-21
- 5,239
- 20240321(배포즉시)_심사평가원, 세계 암 예방의 날을 맞아 악성신생물 진료현황 발표 첨부파일 다운로드
- 20240321(배포즉시)_심사평가원, 세계 암 예방의 날을 맞아 악성신생물 진료현황 발표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심사평가원 ‘암 예방의 날’ 을 맞아 악성신생물 진료현황 발표
- ’23년 악성신생물 진료비 10조 1,552억 원, 2019년 대비 37.7% 증가 -
|
<주요 내용> |
|
|
| |
○ [악성신생물] ’23년 환자 수 195만 925명, 1인당 진료비 520만 5,326원, 총 진료비 10조 1,552억 원 - ’19년 대비 환자 수 18.1%(연평균 4.2%)증가, 남성은 19.2% 증가, 여성은 17.3% 증가 - 최근 5년 진료비는 연 8.3% 증가 (최근 5년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는 연평균 7.1% 증가) - ’23년 인구대비 환자비율은 남성은 80세 이상에서 14.17%로 가장 높으며, 여성은 60대에서 7.7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 다발생 악성신생물은 남성은 전립선암, 위암, 대장암 순이며 여성은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암순으로 나타나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3월 21일‘암 예방의 날’을 맞아 최근 5년간(′19~′23년) 악성신생물 진료현황 결과를 발표했다.
□ 최근 5년간(′19~′23년) 악성신생물 진료 추이를 분석한 결과, 환자 수는 ′19년 165만 1,898명 대비 ′23년 195만 925명으로 18.1%(연평균 4.2%) 증가했고, 진료비는 ′19년 7조 3,765억 원에서 ′23년 10조 1,552억 원으로 37.7%(연평균 8.3%) 증가했다.
○ 남성 환자 수는 5년간 19.2%(연평균 4.5%) 증가했고, 연간 총 진료비는 36.9%(연평균 8.2%) 증가했다.
- 환자 수: 69만 2,229명(′19년) → 82만 4,965명(′23년)
- 총 진료비: 3조 7,865억 원(′19년) → 5조 1,820억 원(′23년)
○ 여성 환자 수는 5년간 17.3%(연평균 4.1%) 증가했고, 연간 총 진료비는 38.5%(연평균 8.5%) 증가했다.
- 환자 수: 95만 9,669명(′19년) → 112만 5,960명(′23년)
- 총 진료비: 3조 5,900억 원(′19년) → 4조 9,732억 원(′23년)
□ ′23년 연령별 인구 대비 진료 받은 환자 수 현황을 보면, 남성의 경우 80대 이상 14.17%(11만 5,905명), 70대 12.77%(23만 2,222명), 60대 6.93%(26만 307명) 순이었으며, 여성은 60대 7.76%(30만 817명), 70대 7.74%(16만 6,199명), 50대 6.92%(29만 8,390명) 순으로 나타났다.
□ ′23년 다발생 악성신생물은 갑상선암(40만 8,770명), 유방암(29만 934명), 대장암(18만 2,606명) 순이며, 최근 5년간 환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암은 전립선암 39.6%, 피부암 36.9%, 췌장암 34.6% 순으로 나타났다.
○ 성별로 악성신생물 진료현황을 보면, 남성의 경우 전립선암(13만 5,119명), 위암(11만 4,761명), 대장암(10만 8,043명) 순이었으며, 여성은 갑상선암(32만 4,629명), 유방암(28만 9,988명), 자궁암(9만 7,799명) 순으로 나타났다.
□ 함명일 심사평가정책연구소장은 “주요 암종 5년 상대 생존율 추이를 보면,′17~′21년의 모든 암 생존율이 72.1%로 나타났다. 악성신생물에 대한 질병 부담이 높은 만큼 사전예방이 중요하며, 꾸준한 건강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더불어“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에서 암질환에 대한 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 > 의료정보 > 의료평가정보 > 암질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