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소통

회의결과 공개

(2024년 제10차 의료행위전문평가위원회) 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에서의 저출력 체외충격파치료
  • 의료행위등재부
  • 2025-02-13
  • 355

안건명: 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에서의 저출력 체외충격파치료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06, 2023.6.14.) 참고

최종고시

518 저출력 체외충격파치료[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

안건구분: 결정신청

전문평가위원회 심의일: 2024.10.21.

참석위원

- 배홍철 위원, 서희숙 위원, 이원규 위원, 박종헌 위원, 최지은 위원,

- 이세영 위원, 서인석 위원, 김수진 위원, 이은용 위원, 이승혜 위원,

- 이광희 위원, 김연숙 위원, 유미화 위원, 윤현주 위원, 조선남 위원,

- 이우용 위원, 권용욱 위원, 박현선 위원, 김한구 위원, 박형두 위원,

- 방우진 위원, 어재선 위원, 오동진 위원

평가결과 및 그 사유

-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에서의 저출력 체외충격파치료는 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CPPS type b)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완화를 위해 회음부에 저출력 체외충격파를 적용하는 행위임

- 신의료기술평가보고서상 통증, 기능 및 증상, 삶의 질을 유의하게 개선하는 유효한 기술이나, 기적 효과 및 적절한 치료 횟수 등을 위해 향후 추가 자료 축적이 필요하다고 평가됨

- 교과서 등에서 만성골반통증후군의 통증, 삶의 질 및 배뇨가 유의하게 개선되나, 장기 효능을 입증하는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이 확인됨. 관련 학회 및 전문가는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고, 부작용 등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의견임

- AETNA에서 실험적이고 조사적인 행위로 명시하였고, 이외 외국 보험등재 현황은 확인되지 않음

- 이에 장기적 치료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표준치료(약물요법, 마사지 치료 등)와 병행하여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보완행위이며 비용효과성이 불분명한 점 등을 고려하여 비급여로 결정함

- 아울러 행위명은 저출력 체외충격파치료[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로 변경함을 보건복지부에 보고토록 함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258(2025.1.1.시행)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2024년 제8차 의료행위전문평가위원회) 내시경 초음파 유도 췌장 가성낭종 경벽배액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담낭 배액술
다음글
(2024년 제10차 의료행위전문평가위원회) 크로모제닉 에세이에 의한 혈액응고 Ⅷ인자의 활성측정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