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정보분석실, 의료정보기획부
- 2015-04-16
- 3,941
- 20150416_50대 ‘무거운 어깨’ … 봄철 과도한 근육 사용 주의해야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50대 ‘무거운 어깨’ … 봄철 과도한 근육 사용 주의해야
- 2014년 어깨병변(오십견 등) 진료인원 200여만 명, 3명 중 1명은 50대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어깨병변(M75)’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 2014년 진료인원은 205만 3천명으로 2010년에 비해 34만명(19.9%)이 증가하였다.(표1) 특히, 입원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이 30.2%로 높아 입원의 비중은 2.0%에서 4.7%로 증가하였다.(표2)
• 2014년 기준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약 1.4배 많았으며,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층은 남녀
모두 50대로 60만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표5)
□ 최근 5년간(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어깨병변’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 진료인원은 2010년 약 171만3천명에서 2014년 약 205만3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4만명(19.9%)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4.6%이며,
• 총진료비는 2010년 약 2,407억원에서 2014년 약 3,969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562억원(64.9%)
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13.3%를 보였다.
□ ‘어깨병변’은 대부분(95% 이상) 외래 진료를 받으며, 2014년 기준 입원 진료인원은 약 10만명, 외래
진료인원은 약 204만명이었다.
- 2014년 입원 진료인원 10만명은 5년 전에 비해 약 6만5천명(187.6%)이 증가한 것이며, 외래
진료인원 204만명은 5년 전에 비해 약 33만3천명(19.5%)이 증가한 수치다.
- 전체 진료인원 중 입원 진료인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3만5천명) 2%였지만, 2014년(10만명)
에는 4.7%로 증가하였다.
- 1인당 입원 진료비와 1인당 입원일수는 2014년 기준 각각 159만원과 9.3일로 5년 전에 비해
감소하였다.
□ ‘어깨병변’ 입원 환자들이 가장 많이 받는 수술은 ‘견봉성형술 및 회전근개파열복원술’로 2014년 기준
실시횟수는 약 5만6천회였다.
- ‘견봉성형술 및 회전근개파열복원술’은 어깨의 상완골과 견봉의 간격이 노화, 무리한 운동 등의
원인으로 좁아지면서 생기는 충돌을 막아주고 파열된 어깨힘줄을 복원해주는 수술이다.
□ ‘어깨병변’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흔히 ‘동결견(오십견)’으로 알려진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
으로 2014년 기준 약 77만7천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30% 이상이었다.
-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이지만 5년 전에 비해 ‘근육둘레띠증후군’,
‘어깨의 충격증후군’의 비중이 조금씩 증가(17.9%→23.3%, 10.9%→15.0%)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근육둘레띠증후군’이란 어깨힘줄이 손상을 입어 파열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흔히 ‘회전근개파열’로
알려져 있으며, ‘어깨의 충격증후군’은 어깨의 견봉과 상완골의 간격이 좁아져 충돌이 발생하여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 ‘어깨병변’ 진료인원 3명 중 1명은 50대로 2014년 기준 약 63만3천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4년 기준 연령구간별 진료인원은 50대가 63만 3천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60대 44만3천명
> 70대 40만4천명> 40대 38만2천명 순으로 많았다.
- 50대는 진료인원이 가장 많기도 하고 2010년에 비해 14만7천명이 증가하여 증가인원도 가장 많아
다른 연령대에 비해 ‘어깨병변’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30대까지는 남성 진료인원이 더 많지만 40대 이후 여성 진료인원이 많아지는데 이는 반복적인 가사
노동 등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 ‘어깨병변’ 월별 평균 진료인원이 많은 달은 3, 4월로 주로 봄에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봄에 ‘어깨병변’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날씨가 풀리면서 운동, 집안 대청소 등으로 인한 활동량이
증가하여 겨울 내 쓰지 않던 근육에 무리가 가거나, 큰 일교차(꽃샘추위 등)로 인해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겨 근육 및 관절이 굳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 ‘어깨병변’의 증상은 어깨를 움직일 수 없거나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동결견)’,
‘근육둘레띠 증후군(회전근개파열)’, ‘어깨의 충격증후군’ 등으로 나뉜다.
- 어깨에 강한 충격,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해 어깨 관절막에 염증이 생기거나 어깨힘줄이 파열되어
어깨의 가동범위가 제한되거나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 어깨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은 비슷하지만 발생 원인은 다를 수 있으므로 통증이 긴 시간 지속되면
전문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 가장 흔한 ‘오십견’은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기도 하지만 어깨힘줄이 파열되는 등의 원인으로 통증이
일어난 것이라면 자연 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 ‘어깨병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운동 전 스트레칭을 하고, 봄에는 겨울동안 굳어있던 근육,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은 “어깨통증이 발생할 경우 흔히 ‘동결견’으로 생각하고 자가치료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지만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반드시 진단을 받아 정확한 원인을 알고
치료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 작성 기준
|
※ 세부내역 첨부 파일 참조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