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정보융합실, 의료정보분석부
- 2016-12-23
- 6,575
- 20161223(조간)_성장기 청소년, 척추 건강 주의보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명이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다운로드시 확인해 주세요.
성장기 청소년, 척추 건강 주의보
- ‘척추측만증’ 진료인원 40% 이상이 10대, 성장기인 13~16세에 주로 발견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척추측만증’에 대해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진료정보(건강보험,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 2015년 ‘척추측만증’ 진료인원은 11만3천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진료비용은
16만2천원(총 185억원)이다.
- 또한 ‘척추측만증’ 진료인원의 44.4%는 10대 청소년으로, 특히 성장기인 13~16세 사이에 진료인원이 많았다.
※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이란 척추가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지 않고 옆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환자 대부분 특발성(85%)으로 원인을 알 수는
없지만 잘못된 자세 등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확실한 예방법이 없어, 조기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매년 10만명 이상이 ‘척추측만증‘으로 진료 받고 있으나, 진료인원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2015년 입원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비용은 약 391만원, 평균 입원일수는 15.0일이며, 외래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비용은 약 8만원,
평균 내원일수는 3.4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그 중 10대, 20대 진료인원을 1세 연령단위로 나눠보면 성장기인 13세 ~16세 진료인원이 많았으며, 비교적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병원 진료를 받는 시점이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 ‘척추측만증’이란 척추가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지 않고, 옆으로 휘는 상태를 말한다.
○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흉추(가슴 부분)가 뒤로 나오고, 경추(목 부분)와
요추(허리 부분)가 앞으로 들어가는 이중 S자 모양으로 되어있다.
○ 그러나 ‘척추측만증’은 척추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 뿐만 아니라 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과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상태이다.
- 또한 ‘척추측만증’은 골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발병될수록 만곡이 더 심해질 수 있다.
□ 척추측만증은 발생 원인이 정확하게 알려진바 없고, 측만증만으로는 별다른 통증이 나타나지 않아 신체검진 등을 통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 가장 간편한 신체 검진 방법은 상체의 전방 굴곡 검사*로, 의학적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다.
※ 환자가 양발을 가지런히 모은 상태에서 무릎을 펴고 허리를 전방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면, 검사자가 환자 후방에서 등 부위나 허리
부위에 돌출되는 부분이 관찰되는지 확인
□ 심사평가원 박희전 심사위원은 “모든 사람의 척추가 같은 모양(각도)을 이루고 있지는 않아 만곡 정도에 따라 증상을 느끼지 못 하는 경우도
많지만, 측만증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측만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보조기 착용,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붙임> ‘척추측만증’ 연도별 연령별 진료인원
※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