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
겨울철
인플루엔자

질병 개요
인플루엔자는 A형 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질환으로 보통 ‘독감’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심한 감기 정도로 여겨질 수 있으나, 노약자 및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병의 원인균, 경과 및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 감기와 구별됩니다.
인플루엔자는 전염성이 강하여 유행 시 환자가 급증할 수 있어 예방과 치료에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인플루엔자는 전염성이 강하여 유행 시 환자가 급증할 수 있어 예방과 치료에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위험요인 및 증상
독감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입니다. 증상으로는 두통, 발열, 기침, 인후통, 콧물, 오한, 근육통이 발생하거나 피로감 등이 느껴집니다.
최근 5년간 환자수 현황 (단위 : 만 명)


그림1. 인플루엔자 최근 5년간 환자수현황입니다. 2018년 272.3만명, 2019년 177.5만명, 2020년 78.4만명, 2021년 1만명, 2022년 86.4만명 입니다.
1인당 진료현황 (2022년 기준)
입원일 경우
-
- 1인당 입원일수
- 4.2일
-
- 1인당 입원 진료비
- 87.8만원
외래일 경우
-
- 1인당 내원일수
- 1.2일
-
- 1인당 외래 진료비
- 3.6만원
※진료비는 보험자부담금(급여비)과 환자본인부담금을 합한 금액임
세부 통계 (2022년 기준)
-
- 주민등록인구* 대비 환자수 비율
- 1.7%
-
- 전년(2021년) 대비 환자수 증감률
- 8926.5%
-
- 연평균(2018~2022년) 환자수 증감률
- -25.0%
(*주민등록인구 : 2022년 전국 총인구수,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최근 5년간(2018~2022년) 월별 진료현황


그림2. 인플루엔자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월별 진료 현황입니다. 환자수는 1월 44.3만명, 2월 8.8만명, 3월 5.5만명, 4월 11.1만명, 5월 2.3만명, 6월 0.3만명, 7월 0.2만명, 8월 0.2만명, 9월 0.3만명, 10월 1만명, 11월 6.5만명, 12월 50만명입니다. 전국 평균기온은 1월 0.1도, 2월 1.8도, 3월 7.4도, 4월 12.8도, 5월 18.3도, 6월 22.1도, 7월 25.2도, 8월 26.4도, 9월 20.9도, 10월 14.8도, 11월 8.1도, 12월 1.5도 입니다.
(*전국평균기온 : 2018~2022년 월별 전국 평균기온, 출처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탈(www.data.kma.go.kr))
함께 유의해야 할 질병
- 급성 기관지염
-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감염
질병 정보
치료 및 예방
인플루엔자는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예방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인플루엔자에 걸렸으면 타미플루를 처방받기도 합니다. 무엇보다도 개인 위생관리와 마스크 착용이 인플루엔자 예방에 큰 도움을 줍니다.
Q)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매년 받아야 하는가요?
A)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매년 받아야 합니다. 과거 유행했던 바이러스와 새로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다르기 때문에 유행가능성이 높은 바이러스에 대해 유행 전 접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인플루엔자 진단 후에는 신속하게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미플루 등의 치료 약제를 사용합니다.
질병 코드
질병 코드 | 질병 명칭 |
---|---|
J09 | 확인된 동물매개 또는 범유행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
J10 | 확인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
J11 |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