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
남성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

질병 개요
크론병은 식도, 위, 소장, 대장과 항문에 이르기까지 위장관의 어느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증상의 악화와 재발이 반복되며 설사, 복통, 열 그리고 체중 감소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15~35세에 진단이 되는 경우가 많고 유전적인 요인과 생활환경이 서구화되는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kdca.go.kr)>
위험요인 및 증상
위험요인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나 육류 중심의 식사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의 초기증상은 대개 복통, 설사, 나른함, 혈변, 발열, 체중 감소, 항문 통증 등이 있습니다.
최근 5년간 환자수 현황 (단위 : 만 명)


그림1.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 최근 5년간 환자수현황입니다. 2018년 6.6만명, 2019년 7.1만명, 2020년 7.4만명,2021년 8.1만명, 2022년 8.7명 입니다.
1인당 진료현황 (2022년 기준)
입원일 경우
-
- 1인당 입원일수
- 9.7일
-
- 1인당 입원 진료비
- 495만원
외래일 경우
-
- 1인당 내원일수
- 5.8일
-
- 1인당 외래 진료비
- 194만원
※진료비는 보험자부담금(급여비)과 환자본인부담금을 합한 금액임
세부 통계 (2022년 기준)
-
- 가장 많이 진료를 받은 연령대
- 30대(19.5)%
-
- 연평균(2018~2022년) 환자수 증감률
- 7.2%
-
- 성별 환자수 비율
- 남성(62.3)%
(*주민등록인구 : 2022년 전국 총인구수,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22년 전체 환자수 대비 연령대별 비율


그림2.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 2020년 전체 환자수 대비 연령대별 비율입니다. 9세이하는 0.9%, 10대 6.5%, 20대 19.3%, 30대 19.5%, 40대 18.1%, 50대 16.9%, 60대 15.0%, 70대 7.3%, 80세 이상은 2.5% 입니다.
함께 유의해야 할 질병
- 과민대장증후군
- 기타 간질환
- 2형 당뇨병
질병 정보
치료 및 예방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의 치료방법은 우선적으로 약물치료(항염증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억제제, 항생제) 방법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수술적 치료 또는 식이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질병 코드
질병 코드 | 질병 명칭 |
---|---|
K50 | 크론병(국소성 장염) |
K51 | 궤양성 대장염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의전화
- 팩스
- 담당자
-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