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도·정책

쉽게 이해하는 용어설명

쉽게 이해하는 용어 설명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사용하는 어려운용어를 쉽게 풀이 하였습니다.

※ 검색 결과가 없는 용어는 용어집에 추가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수집된용어는 용어집에 추가됩니다.

”에 대한 35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가명정보
개인정보를 가명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정보의 사용·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
※ 출처:「개인정보 보호법」제2조(정의), HIRA빅데이터개방포털
가중평균가
동일성분내 약품별 청구량 비중을 고려한 보정 상한금액으로써, 동일성분별 의약품의 ∑(상한금액× 청구량)/∑(청구량)로 산출됨
간경화증
정상적인 간조직이 섬유 조직으로 변하면서 원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질병
간경화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혈액검사에서도 특별한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나 간손상이 심하게 진행되면 황달, 복수, 간성뇌증, 정맥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음
※ 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환경(시설·장비 등), 적정 제공인력 배치 및 환자 안전관리 등 통합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여건을 갖춘 병동에서 보호자나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전문 간호 인력이 팀을 이루어 제공하는 입원서비스
<출처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표준운영매뉴얼 2020, 보건복지부/국민건강보험>
간호등급차등제(간호관리료차등제)
병상 수 또는 환자 수 당 확보된 간호사 수에 따라 1~7등급으로 분류하여 그 등급에 따라 입원료에 대해 가산율을 적용하여 입원료를 차등지급하는 제도임. 적정 수준의 간호사 수를 확보하지 못한 의료기관에서 간호서비스의 일부를 보호자나 간병인에게 위임하는 등 입원진료 시 간호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의료기관의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유도하고자 함
<출처: 대한간호협회 웹진, 보건복지부 고시 2018-041호>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갑상선호르몬이 정상보다 낮거나 결핍된 상태
기초대사량이 적으므로 몸이 붓고 둔해지면서 체중이 늘어나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추위를 타는 증상들이 나타남
※ 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이 만들어져 혈액속의 갑상선호르몬 농도가 과다해서 발생하는 질환
기초대사량이 많아짐으로 음식을 많이 먹어도 체중이 감소하고, 맥박이 빨라지며, 땀을 많이 흘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거식증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로, 식욕이 정상이거나 오히려 증가된 상태에서 마르고 싶다는 끝없는 욕구, 또는 살찌는 것에 대한 극심한 공포로 인해 음식 섭취를 거부하는 질환
※ 출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거짓청구
진료비 청구의 원인이 되는 진료행위가 실제 존재하지 않았으나 진료행위가 존재한 것으로 가장하여 진료비 등을 청구하는 행위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능과 역할>
건강보험보장성강화
국민의 의료수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급여 범위 확대 및 적정진료 보장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