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도·정책

건강보장제도

정의
  •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국가나 사회가 제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건강보험, 의료급여, 산재보험을 포괄합니다.
  • 이 제도는 상대적으로 과다한 재정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국민의 주인의식과 참여의식을 조장할 수 있습니다.
의의
  • 의료수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국가적 노력입니다.
  • 예측할 수 없는 질병의 발생 등에 대한 개인의 부담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개인의 위험을 사회적ㆍ국가적 위험으로 인식하여 위험의 분산 및 상호부조인식을 제고 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필요성

사회계층 간 의료수혜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의료이용도의 소득계층별, 지역별, 성별, 직업별, 연령별 차이가 사회적 불만의 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보건의료서비스가 의.식.주 다음 제4의 기본적 수요로 인식됨에 따라 의료보장제도의 필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의료보험방식 (National Health Insurance)
  • 일명 비스마르크(Bismarck)형 의료제도라고 하는데, 개인의 기여를 기반으로 한 보험료를 주재원으로 하는 제도입니다.
  • 사회보험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수진 시에 본인 일부 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국가보건서비스 (National Health Service) 방식
  • 일명 조세방식, 비버리지(Beveridge)형 의료제도라고 하며, 국민의 의료문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조세를 재원으로 모든 국민에게 국가가 직접 의료를 제공하는 의료보장방식입니다.
    • 사회계층간 의료수혜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의료이용도의 소득계층별, 지역별, 성별, 직업별, 연령별차이가 사회적 불만의 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보건의료서비스가 의.식.주 다음 제4의 기본적 수요로 인식됨에 따라 의료보장제도의 필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부담의 형평이라는 측면에서는 사회 보험형 보다 우수하지만, 의료의 질 저하 및 관리 운영상의 비효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의료보장제도유형
구분의료보험방식(NHI)국가보건서비스방식(NHS)
기본이념의료비에 대한 국민의 1차적 자기 책임의식견지 (국민의 정부의존 최소화)국민의료비에 대한 국가책임 견지(국민의 정부의존 심화)
적용대상관리국민을 임금소득자,공무원, 자영자 등으로 구분관리 (극빈자 별도 구분)전 국민을 일괄 적용 (집단구분 없음)
재원조달보험료, 일부 국고 지원정부 일반조세
진료보수
산정방법
행위별수가제 또는 총액계약제 등
  • 일반 개원의는 인두제
  • 병원급은 의사 봉급제
관리기구보험자 (조합 또는 금고)정부기관 (사회보장청 등)
재택국가한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영국, 스웨덴, 이태리 등
국민 의료비의료비 억제기능 취약의료비 통제 효과가 강함
보험료 형평성
  • 보험자 내 보험료 부과의 구체적 형평성 확대가능
  • 보험자가 다수일 경우 보험자간 재정불균형 발생 우려
조세에 의한 재원 조달로 소득재분배 효과강함 (선진국)
(단, 조세체계가 선진화되지 않은 경우 소득역진 초래)
의료서비스
  • 상대적으로 양질의 의료제공
  • 첨단의료기술 발전에 긍정적 영향
  • 의료의 질 저하 초래
  • 입원 대기 환자 급증
    • 대기기간 장기화
    • 개원의의 입원 의뢰 남발
  • 사보험 가입 증가경향으로 국민의 이중부담초래
연대의식가입자간 연대의식 강화가입자간 연대의식 희박
관리운영
  • 보험자중심 자율운영(대표 기구를 통한 가입자의 조합운영 참여보장)
  • 정부기관 직접 관리 (가입자의 운영참여 배제)
  • 정부기관 직접 관리 (가입자의 운영참여 배제)
  • 직접 관리운영비 부분적 축소 (보험료 징수비용이 조세 관리비용으로 전가)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문의전화
팩스
담당자
수정일